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6 호
제목
남도 실경산수화의 전통과 진보
원어 제목
Traditional and Progressive Branches of Jeollanam-do’s Real-view Landscape Painting
주제 분류
포커스평론
자료 유형
포커스 심포지움
저자
홍선표 洪善杓   지음
발행일자
2023.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170-174쪽 / 총 5쪽
국문초록
동아시아 회화의 창작 사상과 조형의 정체성을 가장 독창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산수'는 삼라만상의 생성화육을 조성하는 음양의 상보적 요소이며, 자연의 조화와 질서를 구유한 생태적 기반이고, 우리들 삶의 모태이자 터전으로, 미의식의 원천이며 예술적 영감의 무진한 자원이다. 특히 이러한 산수를 바다를 앞에 둔 남도의 수활한 실경으로 형용한 전통과 진보의 맥락은, '통(通)'과 '변(變)'의 무한한 역사성과 함께 미지의 창조세계를 향한 도전의 전망대이기도 하다. '예향'으로서의 남도는 근대기를 통해 전통회화에서 서울에 버금가는 최대의 인맥을 자랑하게 된다. 이러한 번성은 허련의 아들 미산 허형(許灐,1862~1938)에게 그림을 배운 방손인 의재 허백련(許百鍊, 1891~1977)과 허형의 4남인 남농 허건(許楗, 1907~1987)에 의한 양대 산맥을 중심으로 구축된 것이다. 이러한 남도의 예술 특성에서 목포 출신으로 서울대 미대 동양화과에서 배우고 귀향하여 활동하고 있는 한국화 세대인 김천일(金千一, 1951~)은 남도 남종화의 계맥보다 '사자연'의 원류인 고법을 치열하게 탐구하고, 산수자연의 실물 경물들을 하나하나 치밀하게 분석한 다음 또 다른남도경을 재현했다. 김천일 보다 10년 연상인 타이완의 리이홍(李義弘 1941~)은 하이퍼 리얼리즘을 활용한 기법으로 중국 대륙과 마주한 '해안'을 클로즈업하여 일상의 서경성과 함께 '양안(兩岸) 문제'인 현실의 서사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이들 보다 신세대인 웬훼리(袁慧莉, 1963~)는 전통을 거점으로 화선지를 태운 잿물로 만든 화묵(火墨)=회묵(灰墨)으로 수묵의 재료적 경계 를 넘으려 했는가 하면, 새로운 조경을 위한 준법의 창출을 통해 산수화의 초현대미술로서의 가능성을 추구하고 있다.
외국어초록
"Mountains and water," the primary subjects in East Asian painting that most effectively embody the genre's identity as well as philosophy on creativity, is a complementary element of yin and yang (the cycles by which the universe creates itself out of the chaos of material energy), an ecological foundation that enables natural harmony and order, the progenitor and foundation of our lives, the origin of aesthetics, and an infinite source of artistic inspiration. The traditional and progressive/modern branches of real-view landscape painting, highly developed in Jeollanam-do, a region surrounded by the ocean, are rich in historical significance. Today, they are also a means of exploring uncharted artistic territory. Jeollanam-do became an artistic stronghold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with a traditional painting community whose members' prominence was on par with the art community in Seoul. It is a feat that was largely made possible through the efforts of Uijae Heo Baekryeon(1891~1977), who studied painting under Heo Hyeong, who happened to be a distant relative(1862~1938; Heo Ryeon's son), and Heo Hyeong's fourth son, Namnong Heo Geon(1907~1987). Kim Chun-Il(1951~), a Mokpo native of the "Korean painting(hangukhwa) generation" who returned to his hometown after studying traditional paint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duces a new brand of depictions of Jeollanam-do through exhaustive analyses of the features of natural landscapes and faithful adherence to traditional techniques rather than replicating the style of Jeollanam-do's Southern School. Taiwan's Lee Yih-hong(1941~), who is a decade older than Kim, uses hyperrealism techniques to create close-up portrayals of China's coastal areas through scenes of daily life as well as the realities of the China-Taiwan conflict. Yuan Hui-li (1963~), who is part of a much younger generation than both Kim and Lee, experiments with the limits of ink-and-wash painting materials, using instead ink sticks made from a solution of mulberry paper ashes. By developing new ways of depicting the curves of mountains and rocks, she suggests the potential of Eastern landscape painting as a genre of hyper-contemporary art.
참고 문헌
키워드
PDF 문서
논단56_포커스평론_홍선표선생님.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