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5 호
제목
『본초강목(本草綱目)』이 조선 후기 과도(果圖)에 끼친 영향
원어 제목
The Influence of Bencao Gangmu(Compendium of Materia Medica) on the Paintings of Fruit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정희정 鄭熙靜   지음
발행일자
2022.12.31
기본언어/원문언어
/
수록면/분량
135-158쪽 / 총 24쪽
국문초록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이국의 과일이 새롭게 그림의 소재로 등장한 현상의 배경으로 본초학의 발달을 상정하고 고찰했다. 동아시아에서 한의학은 공통의 지식 체계를 형성하며 발전했다. 17세기 집대성된 한의학 저서 『본초강목』과 『동의보감』의 동아시아 전역으로의 유포는 관련 삽화의 공유와 괘를 같이 했다. 『본초강목』삽화의 제작 의도는 지식의 시각화로 기존의 회화와는 차별된다. 지속적으로 동아시아인의 지식 체계에 영향을 끼치며 회화에도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다. 조선 후기 이국의 과일 그림으로 그려진 여지, 불수감, 비파는 『십죽재서화보』의 직접적인 영향과 함께 『본초강목』의 직간접적인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유추된다. 또한 오랜 세월 동아시아에서 제수의 상징으로 초려 즉 바나나와 여지가 거론되었음에도 바나나는 거의 그림으로 그려지지 않은 이유로 『본초강목』에 그려지지 않은 것이라 추론했다. 더불어 『본초강목』삽화의 경험은 그림의 소재를 확대시키는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이며, 또한 단독의 삽화들은 그림의 새로운 조합을 위한 도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동아시아에서 화조화의 발달을 17세기 이후 더욱 촉발시켰을 것이다. 이제까지 과일을 포함한 소과도가 사생과 길상의 목적으로 그려지면서, 남송의 선종화가의 깨달음의 대상으로, 명대 유가적 관념의 투영 대상으로 해석되어왔다. 본 연구는 17세기 이후 주변을 관찰하고 담아내고자 한 과학적 태도도 더해졌다고 본다.
외국어초록
This study introduced and examined the development of herbal medicine in the context of the emergence of foreign fruits as subjects of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East Asia, oriental or Chinese medicine was developed while forming a common body of medical knowledge. The circulation of the 17th-century oriental medicine books, Bencao Gangmu and Dongui Bogam throughout East Asia coincided with the spread of the related illustrations. The purpose of the illustrations in Bencao Gangmu was the visualization of knowledge, which differed from conventional paintings. It is possible that it as continued to influence the knowledge system and discourse in East Asia. The paintings of exotic frui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epicted fruits such as lychee, fingered citron, and loquat; it is believed that there th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f Bencao Gangmu along with the direct influence of shih zhu zhai shu hua pu in these painting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bananas were not depicted in these paintings despite being symbols of food for ancestral rites in East Asia along with lychee because bananas were rarely painted in the Bencao Gangmu. In addition, the illustrations of Bencao Gangmu seem to have influenced the increase of material of the paintings. Further, the single illustrations may have served as a basis for new combinations of paintings,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in East Asia after the 17th century. Thus far, paintings of fruits had been drawn for the purposes of sketching and holiness; they have been interpreted as objects of enlightenment by the Zen painters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as projections of Confucian concepts by painters of the Ming Dynasty. In this study, it is argued that a scientific attitude of observation and capturing of the surroundings has been incorporated in these paintings since the 17th century.
참고 문헌
키워드
과도(果圖), 사생(寫生), 『본초강목(本草綱目)』, 삽화(揷畫), 『십죽재서화보(十竹齋書畵譜)』, 강세황(姜世晃), 박규수(朴珪壽) painting of fruit, Sasaeng, Bencao Gangmu(Compendium of Materia Medica), illustration
PDF 문서
논단55_6_정희정.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