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4 호
제목
병와(甁窩) 이형상(李衡祥)의「호연정팔폭(浩然亭八幅)」을 통한 출처팔폭(出處八幅)의 시각적 특성과 표상 고찰
원어 제목
A Study of Visual Characteristics and Representation of ‘Chulcheo Eight Fold Screen’ through 「Hoyeon Pavilion Eight Fold Screens」 Written by Lee Hyeon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유옥경 柳玉暻   지음
발행일자
2022.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59-89쪽 / 총 31쪽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 문신 甁窩 李衡祥(1653~1733)의 「浩然亭八幅」에 나타난 중국 고대 선현 가운데의 傅說ᆞ姜太公ᆞ張良ᆞ諸葛亮ᆞ巢許ᆞ沮溺ᆞ商山四皓ᆞ楚狂의 출처행적을 예증한 8首의 한시 내용을 전거로 하여 조선시대 ‘出處圖’ 제작사례를 밝혀 그 시각적 특성과 표상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호연정팔폭」은 조선의 儒子가 인식한 중국 고전의 이상적인 出仕와 隱遁에 대한 원형적 모범을 드러내었다. 궁극적으로 군자의 일은 출처보다 중대한 것이 없음을 보여주며, 출처는 때에 맞게 하는 것이 중요했음을 함축하고 있다. 더욱이 본 연구에서는 「호연정팔폭」에 나타난 8수의 소제목들이 특히, 조선후기 문신 申景濬(1712~1781)의 「次畵屛韻」에 거의 유사하게 7수의 畵題로 수록되어 있음을 찾을 수 있어, 문헌 텍스트와 시각 이미지와의 상호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아쉽게도 현전하는 작품 가운데 「호연정팔폭」전체를 화첩이나 병풍으로 제작한 사례는 아직까지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시대 ‘출처도’ 畵目 제작사례의 발굴과 특히 조선시대 고사인물화 갈래 연구의 실증적 분류방법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다. 인물화-고사인물화-출처도 화목의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회화사의 갈래 연구가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
외국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roduction case of ‘Chulcheodo’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discuss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presentations, based on the poetry that illustrate ‘Chulcheo’ activities of ancient Chinese sages in 「Hoyeon Pavilion Eight Fold Screens」 by Byeongwa Lee Hyeong sang(1653~1733). Chulcheo’ in the subject refers to becoming a government official and realizing one’s ideal or biding one’s time quietly as an ordinary person. 「Hoyeon Pavilion Eight Fold Screens」 is divided into four men who became government officials and four hermits, which exemplifies their ‘Chulcheo’ activities. Four men who became government officials include FuYue, JiangTaigong, ZhangLiang, ZhugeLiang, and Four hermits include ChaoHu, JuNi, ShangshanSihao, Chu Kuang. The pictorial characteristic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presentation of ‘Chulcheodo’ were approached through an integrated review of the literature data and existing works related to ‘Chulcheo’ activities of the characters in 「Hoyeon Pavilion Eight Fold Screens」. First of all, the image of four men who became government officials depicts the achievements of those who lived in hiding and were recommended by the king to become officials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of the three ideal era and late Han dynasty. The image of four hermits then contains achievements of hermits who had great virtues but lived in hiding of the Yao-Shun period,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Qin Han dynasties. Ultimately, ‘Chulcheodo’ shows that the work of the nobleman was no more important than ‘Chulcheo’. Also, it represents that it was important to make ‘Chulcheo’ right in time.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discovery of the production case of ‘Chulcheodo’ picture type and especially the standard of an empirical classification method for the study of figurative paintings about the ancient stories during the Joseon period.
참고 문헌
키워드
병와, 이형상, 호연정팔폭, 고사인물화, 출처도, 표상
PDF 문서
논단54_2_유옥경.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