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3 호
제목
민속품과 미술품 사이에서: 뮌헨 오대륙 박물관과 노르베르트 베버의 1926년 기증품
원어 제목
Between Ethnographica and Artworks : Museum Five Continents and Norbert Weber’s Donation of 1926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이화진 李和眞   지음
발행일자
2021.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137-162쪽 / 총 26쪽
국문초록
뮌헨의 오대륙박물관은 바이에른을 통치하던 비텔스바흐 가문이 소장한 비유럽 지역의 수집품을 바탕으로 설립된 민족학박물관이다. 루치안 셰르만과 함께 막시밀리안 거리의 구 국립박물관의 자리로 이전하면서 민족학박물관은 공간적 협소함과 열악한 전시 환경을 벗어나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소장품과 관람객의 폭발적 증가, 호평을 받은 전시 구성은 박물관이 성장하는 데 셰르만이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음을 알린다. 특히 한국 컬렉션의 성장에 있어서 장크트오틸리엔 베네딕도 선교수도회 수도원장 노르베르트 베버의 1926년 기증품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의 여행기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를 한국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모범서라고 평가했던 셰르만에게 베버는 한국 지역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조력자가 되었다. 또한 베버의 한국 여행이 담긴 입체경 사진은 전시장을 찾은 독일 관람객의 눈앞에서 생생하게 한국인의 삶을 전개하며 베버와 셰르만의 교류가 단순한 사적 관계를 넘어 민족학박물관의 전시를 풍요롭게 만들고 있었음을 전달한다. 셰르만이 관장으로 임명되던 20세기 초, 청기사파와 같은 아방가르드 미술가들은 민족학박물관에서 미적 영감을 얻기 시작했고, 이에 미술사가의 시선이 점차 민속학 안으로 들어왔다. 즉 베를린 박물관 전쟁이 보여 주듯 민족학박물관에서 미술품을 분리하려는 경향이 대두한 것이다. 그러나 셰르만은 문화를 민속품과 미술공예품, 미술품의 유기적인 종합으로 이해했으며, 고급문화와 원시 민족에 대한 차별적 시선이나 이데올로기적 편향 없이 모든 민족의 문화유산을 총체적으로 제시하려고 했다. 민족학박물관의 역할이 대중의 미적 취향을 증진하고 미술가와 공예가를 인도하는 데 있다고 강조한 셰르만은 민족학박물관의 전시가 식민 정치와 밀접하게 연결되던 당대의 흐름을 비켜간다. 이런 점에서 베버가 1925년 두 번째 한국 여행에서 구입하고 기증한 물품은 민족학박물관의 재개관을 앞둔 셰르만의 이상, 즉 일상용품만이 아니라 독자적인 한국 문화를 전달하는 미술품을 소장하려는 의도를 반영한다. 그럼에도 한국 컬렉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나 베버의 기증에 대한 당대 비평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은 한국을 향한 독일인의 무관심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의 뒤늦은 문호 개방, 일본 정부의 검열 아래 가치 있는 고미술품의 부재, 독일 미술사가의 짧은 한국 체류 등에 기인한다. 오대륙박물관의 어두운 수장고에서 여전히 길을 잃고 있는 베버의 기증품이 앞으로 셰르만의 전통 아래 민족학과 미술의 조화로운 결합을 제시하는 출구를 찾기 바란다.
외국어초록
Museum Five Continents in Munich originates from the royal ethnographic collection of non-European World established by the Wittelsbachs, the ruling family of Bavaria. The appointment of the 3rd Director Lucian Scherman in 1907 marked a turning point for the Museum of Ethnology, which is named MuseumFiveContinents since 2014. This caused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llections, visitors and acclaimed exhibitions. In the expansion of its Korean collection, a gift in the spring of 1926 made by Norbert Weber, archabbot of the Missionary Benedictines in St.Ottilien, who visited Korea a second time and purchased Korean artifacts in 1925, played such a crucial role. Weber became a special adviser with his expert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Korean culture for Scherman, who evaluated his travel book, Im Lande der Morgenstille published the first edition in 1915,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andard works for Korea. The stereoscope pictures, which were founded at the archive of MuseumFiveContinents in the Summer of 2021, based on Weber’s Korean photos. The correspondence between Scherman and Weber suggests that their relationship did not remain as a personal acquaintance but also enriched the exhibitions of the Munich Ethnological Museum. Furthermore,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Scherman started in his role as museum director, avant-garde artists such as Blauer Reiter began to find their artistic inspiration at the ethnological museums. However, Scherman, who understood one specific culture as an organic synthesis of folklore articles, arts and crafts and artworks in that region, stayed away from the museum’s rearrangement in Berlin. In addition, he insisted that the role of the ethnographic museum was to promote the aesthetic taste of the public and guide the artists and craftsmen. Consequently, he deviated from the colonial ideology by resisting to divide high culture and the primitives. In this respect, the ethnographica Weber purchased his second trip to Korea and donated to the Museum, were primarily ceramics, such as celadon, responses Scherman’s ideal, collecting not only daily artifacts, also the unique artworks which are able to show Korean culture in the reopening of the ethnographic museum in the Maximilian street. Notwithstanding, the lack of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Korean collections or contemporary criticism of Weber’s gift apparently demonstrates the German’s indifferences towards Korea. Such a phenomenon is caused by the late opening of Korea to foreign countries, in comparison with other eastern Asian neighbours, the absence of valuable antique art under the censo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 in Seoul, and the short stay of German art historians and researchers in Korea. It is hoped that Weber’s collection, which is still silent in the dark storage in MuseumFiveContinents, discovers a way out as it presents a harmonious combination of ethnology and art under Scherman’s tradition.
참고 문헌
키워드
루치안 셰르만 Lucian Scherman, 민족학박물관 Museum of Ethnology, 장크트오틸리엔 St. Ottilien, 노르베르트 베버 Norbert Weber, 안드레아스 에카르트 Andreas Eckardt, 문화 교류 cultural exchange,, 문화횡단성 transculturality
PDF 문서
논단53_07이화진.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