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3 호
제목
츠치다 바쿠센(土田麥僊)의 <평상(平床)>과 청초고아(淸楚古雅)의 미(美)
원어 제목
A Study on Tsuchida Bakusen’s PyeongSang(平牀)and Cheongcho-goa(淸楚古雅)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김정선 金正善   지음
발행일자
2021.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101-120쪽 / 총 20쪽
국문초록
<평상>(교토시교세라미술관)은 근대 교토(京都)화단을 대표하는 츠치다 바쿠센(土田麥僊, 1887~1936)이 1933년 조선 취재를 통해 완성한 작품이다. 평상이 있는 실내를 배경으로 한복을 입은 2명의 여성을 배치한 본 작품은 종래 일본인 화가들이 기생을 수동성, 정체성, 전근대성으로 표상했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바쿠센이 동양 고전회화를 근간으로 당대 복식이나 유물을 번안한 점, 조선색의 강조 보다는 색과 선의 사용을 중시하고 있는 점 등은 기존의 담론에서 벗어나 <평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틀을 요구한다. 실제 고전을 통한 번안, 유려한 선과 백색조의 담백한 색을 통해 완성한 ‘청초고아’의 표현은 이 시기 바쿠센이 추구하고자 했던 근대적 일본화의 실천이자, 당대 일본 화단의 신고전주의와 맥을 같이 하는 것이기도 했다. 이에 본 소론에서는 <평상>의 제작 과정을 당대의 복식 및 유물과의 비교를 통해 추적하고, ‘청초고아’의 표현을 제전을 중심으로 한 당대 화단의 흐름 속에서 살펴보았다. 물론 바쿠센이 조선 정체론을 바탕으로 현실의 조선에서 “천 년의 시대를 뛰어 넘는 唐代의 흔적”을 발견하고, 고미술을 통해 기생을 현실에 유리함으로써 식민지 현실을 은폐하는데 일조한 점은 부정하기 힘들다. 그러나 고대 종교화의 고결한 인상마저 느껴지는 <평상>의 청정 고아의 세계는 재야단체였던 국화창작협회를 해산하고 10년 만에 제전에 복귀하게 된 바쿠센이 제시하고자했던 새로운 근대적 일본화의 모습이기도 했다. 일본 근대 미술 형성에 조선이 적지 않은 가능성과 자극을 부여한 점은 새롭게 평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초록 2 (타언어)
외국어초록
The (An arts museum, Gyosera Arts Museum seated at Kyoto City) is a work made through news gathering in Joseon on 1933 by Tsuchida Bakusen. The work allocating 2 women wear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at the background of indoor equipped with PyeongSang has been mentioned as an epidemic case representing the Gisaeng as passiveness, identity and prior modernism by traditional Japanese painters. However, the points those Bakusen translated the costume and cultural remains in the era based on oriental classic painting and putting weight on using color and line rather than emphasizing color of Joseon require the framework of new interpretation on the out of the conventional discourse. The translation through realistic classic and the expression of 'Cheongcho-Goa(淸楚古雅)' finished with the beautiful lines and blandest colors of whiteness tone are the carry out of modernistic Japanese painting pursued by Bakusen at that time and the one in the same context with the Neoclassicism of Japanese painting society at that era. Therefore, this article traced and looked into the production procedures of and the expression of 'Bluish Fresh Ancient Grace' via the costume and cultural remains at that time and oriented to the trends of the painting society with Imperial Academy of Fine Arts Exhibition at its center at that time. Of course, it is very hard to deny that Bakusen partially contributed finding "the traces of Ding Era beyond the age of thousand years" and hiding the reality of colony by separating Gisaeng to reality via ancient arts based on Joseon Stagnation. But the Cheongcho-Goa in which is felt with the graceful image of ancient religious painting is a shape of new Japanese painting to be suggested by Bakusen who disassembled the opposing group, National Creative Association and returned to Imperial Academy of Fine Arts Exhibition after 10 years. It is believed as necessary to evaluate newly that Joseon granted the possibility and stimuli considerably to form the contemporary arts of Japan.
참고 문헌
키워드
츠치다 바쿠센(土田麥僊) Tsuchida Bakusen, 평상 Pyeongsang, 기생 Gisaeng, 청초고아(淸楚古雅) Cheongcho-Goa, 신고전주의 neo-classicism, 동양주의 Orientalism
PDF 문서
논단53_05김정선.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