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2 호
제목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 벽화>의 화승과 화풍 검토
원어 제목
A Study on the Monk Painters and Style of Amitabha Triad Mural of Muwisa Temple in Gangjin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신광희 辛廣姬   지음
발행일자
2021.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7-29쪽 / 총 23쪽
국문초록
전남 강진 무위사(無爲寺)의 극락보전 내 주존 불화인 <아미타여래삼존 벽화>는 조선 불화의 서막을 알리는 기준작 중 하나이다. 이 그림은 제작 시기와 발원·제작자가 명확한 15세기 불화이며, 후불벽 뒷면의 <백의관음 벽화>와 함께 ‘원위치’에 보존된 한국 최고(最古)의 불교 벽화이기도 하다. 또한, 조선전기 작품군이 대부분 일본 등 해외에 소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에서 볼 수 있는 드문 사례라는 점에서도 가치가 매우 높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화승과 화풍을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이 벽화의 수화승은 대선사 해련인데, 15세기에는 국가 공역에 참여했던 승려에게도 대선사가 부여되기도 했던 것으로 보아, 기존에 사찰 건물의 영선(營繕)에 참여했던 경력자일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해련은 15세기 왕실 발원 불서의 시주자 명단에서 여러 건 확인되는데, 이를 통해 그가 효령대군 및 행호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무위사 불사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배경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 벽화>는 1476년에 그려진 불화로 고려말 불화의 화풍을 상당수 계승했으며 이와 더불어 15세기 궁정 화풍도 수용해 그려졌다. 이 그림이 민간 발원 불화임에도 궁정 화풍이 수용될 수 있었던 것은 화승 해련의 행적과 어느 정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그림은 극락보전 내 후불벽 전면에 그려져 있는데, 앞에 자리한 아미타삼존 조각상의 조성 시기와 근접해 있다. 따라서 조각상들을 염두에 두고 구도를 변화, 그림 내 아미타삼존과 나한들의 형상이 시각적으로 잘 보이도록 처리했다.
외국어초록
Amitabha Triad Mural, the main Buddhist painting at Muwisa Temple(無爲寺) in Gangjin, Jeollanam-do, is one of the standard works that mark the prelude to Joseon Buddhist paintings. This painting is a 15th-century Buddhist painting with clear production dates, patrons, and painters, and it is also the oldest Buddhist mural in Korea preserved in its original location. In addition, it is very valuable in that it is a rare case that can be seen in Korea, as almost all of the Buddhist paintings produc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re currently in possession overseas. Nevertheless, existing studies have not been able to deal with the painters and styles in detail. Among the three monk painters Haeryeon(海連) was a leader,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e may have been an experienced artist who had previously painted murals for temple buildings. His name can be found in a list of various Buddhist scriptures, sponsored and produced by the 15th century royal famil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he was related to Hyoryeongdaegun(孝寧大君) and the monk Haengho(行乎). He also considered that it was possible to draw the murals of Muwisa Temple as a result of this background. This mural was painted in 1476, and has inherited many of the painting styles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And some of the 15th-century court styles are also visible. Although this painting is a privately sponsored work, the appearance of the court style seems to be somewhat related to the artist Haeryeon's activities. This painting is located behind the statue of Amitabha Triad. And paintings and sculptures are produced at about the same time. This arrangemen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mposition of this mural.
참고 문헌
키워드
무위사, 극락보전, 아미타삼존, 벽화, 화승, 해련 Muwisa temple, Geungnakbojeon hall, Amitabha triad, mural painting, monk painter, Haeryeon
PDF 문서
논단52_흑백_내지_신광희.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