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2 호
제목
구한말 왕실소장 일본미술 서적의 조사 및 연구
원어 제목
Study on the Joseon Royal Collection 'Art' Books Published in Japan at Empire of Korea Period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황빛나 黃빛나   지음
발행일자
2021.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77-100쪽 / 총 24쪽
국문초록
본 연구는 그간 방대한 규모와 더불어 자료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해 왔던 일본판 조선 왕실 수장 도서에 대해 ‘미술’ 서적을 중심으로 그 현황과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18세기까지 왕실이나 조정에서 크게 관심을 갖지 않았던 일본판 도서들은 고종 연간을 거치며 수적으로 급증한다. 내용적으로는 경부(經部)에서는 교육적 성격이 강한 사서(四書)류의 서적이, 사부(史部)에서는 통감부 설치 이후 일본사와 관련한 별사나 전기, 지리류 서적이 수집의 주종을 이루는 가운데, 금석학과 관련한 고문 도서가 함께 수집된 점이 흥미롭다. 그러나 1910년을 전후로 양적으로 가장 종류가 급증하는 것은 자부(子部)의 예술류, 보록류 및 잡류에 속한 다양한 시각이미지가 포함된 도서들이다. 이들 자부에 속한 일본판 도서들은 크게 성격에 따라 호고(好古) 취미를 반영한 화보, 인보, 도보류와 개화기 식산흥업의 일환으로 장려된 공예산업과 관련한 금속, 목칠, 자수, 매듭공예와 관련한 기술서 및 도안집들로 분류 가능하다. 19세기 이후 동아시아 전반에 만연한 문사들의 서화고동 취미를 반영하는 전자에 해당하는 도서들은 탈아입구(脫亞入歐)를 통한 문명개화와 서구화가 본격적으로 추구된 1910년 이후로도 상당 기간 수집이 지속적 되었다. 이는 수집의 주체라 할 수 있는 왕실 및 한일 개화파 주요 관료들이 추구하였던 이중적 公私개념, 즉 사적영역에서의 중세적 취미성과 공적 국가제도 속의 탈아적 서구화의 추구가 공존하는 근대의 특수한 사회문화적 현상과도 관련되며, '古'에 대한 애호를 반영하는 서적들은 실용적 측면에서는 메이지 전기의 박람회를 줌심으로 한 식산흥업정책과의 관련성 속에서 수집, 추구된 것으로 보인다.
외국어초록
Jangseogak (藏書閣)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Kyujanggak(奎章閣)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ntain more than 30 catalogs of a number of classics from the Joseon Dynasty from the reign of King Gojong (高宗) to the Japanese occupation. Among them, unlike the Korean and Chinese editions of which the bibliography is arranged as a separate book and the entire contents of the book can be confirmed,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volving the two institutions has not been conducted on the Japanese books belonging to the former Joseon royal family.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condition ,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ooks of the Joseon royal family published in Japan, focusing on the 'art' book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many of the Japanese books purchased by the royal family or stored through donations are largely related to the hogo(好古) and Literary and nobleman taste that have been prevalent in East Asia since the 19th century. This reflects the antinomy coexistence phenomenon of dual values, such as the Dongdoseogi(東道西器), which many of the bureaucrats of Korea and Japan had in the modern era.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a more advanced discussion will be possible through individual in-depth research on Japanese art books owned by the royal family.
참고 문헌
키워드
대한제국, 고종, 규장각목록, 내하책자목록, 승화루서목, 왕실 자료, 이왕가도서실, 일본판 도서, 집옥재, 공예미술 藏書閣目錄, 內下冊子目錄, 承華樓書目
PDF 문서
논단52_흑백_내지_황빛나.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