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2 호
제목
물질문화 연구론 관점에서 본 조선후기의 왕실 연향용 음식기명 연구
원어 제목
A Study on Tableware for Royal Palace Banque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 Culture Study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정희정 鄭熙靜   지음
발행일자
2021.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31-54쪽 / 총 24쪽
국문초록
본 논문은 공예사 연구에 물질문화연구론을 적용하여 조선후기 연향용 음식기명의 형식을 구조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공예형식에 관여하는 주요 환경요인으로 음식을 상정하고 이를 매개로 조선후기 사료에 산재한 음식기명을 연결하고 수학적으로 접근하여 상대적 크기를 규명했다. 왕실 연향용 음식기명에 대한 정보가 다수 있으나 그동안 조목받지 못했던 『승정원일기』 1795년 6월 18일자 기사와 『일성록』 1796년 2월 11일자 기사를 처음으로 조명하고 분석했다. 『승정원일기』에는 음식에 대응하는 음식기명이 있으며 『일성록』에는 연향상에 속하는 반과상의 음식기명 치수가 구조적 체계 속에 기록되어 있다. 기명 중 대·중·소의 구분은 일습 내 상대적 차이를 의미하며 절대적 크기 의미는 아니라는 것을 밝혔다. 연향용 보아, 중접시, 대접시의 형식을 규명하여 유척를 기준으로 보아는 원지름 3치, 중접시는 4치내외, 대접시는 5치내외라는 것을 입증했다. 또한 조선후기 연향 음식은 거의 그대로 대한제국기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마지막까지 왕실 연향에서 사용한 주요 음식기명은 5치의 대접시를 넘어서지 않으며, 대한제국 전 추가된 황제의 대탁 찬안상에서 현존하는 대형 접시류가 사용되었을 것으로 잠정적 결론을 내렸다.
외국어초록
This paper conducts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form of tableware for banquet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applying the theory of material culture study to the study of craft history. I assumed food to be a major environmental factor that influenced the format of craft, and this served as a medium for building a connection among tableware scattered in historical record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I applied a mathematical approach to determine the relative sizes of the tableware. I analyzed two sources that have received limited attention so far—an entry of Seungjeongwon Ilgi dated June 18, 1795 and an entry of Ilseongnok dated February 11, 1796. Among these materials, the former refers to tableware corresponding to the types of food, while the latter uses a structural system to record the dimensions of tableware used for bangwasang.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tableware into large, middle, and small sizes depends on the relative sizes of the items within a given set, instead of indicating their absolute sizes. I identified the forms of a boa, a medium-sized plate, and a big-sized plate for banquet and proved that the diameters of these three types of tableware were 3 chi寸, about 4 chi, and about 5 chi, respectively and these measurements are based on the dimensions of a yucheok鍮尺. Since the banquet food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tinued unchanged through the Korean Empire, we could find out that the sizes of main tableware used in the royal palace banquet until the end of the imperial rule did not exceed that of a large plate with a diameter of 5 chi. In addition, I could also conclude that the existing large plates over 5 chi were used for the emperor’s daetak-chanansang, which was introduced shortly before the Empire of Korea was established.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structur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 existing ceramic relics used for banquet.
참고 문헌
키워드
물질문화연구, 도자기, 왕실, 연향, 음식기명 material culture study, porcelain, royal palace, banquet, tableware
PDF 문서
논단52_흑백_내지_정희정.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