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2 호
제목
전쟁의 표상, 총후 여성
원어 제목
The Representation of War, Women on the Home front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문정희 文貞姬   지음
발행일자
2021.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133-155쪽 / 총 23쪽
국문초록
2차 세계대전 시기에 일본이 만든 ‘총후’라는 개념은 전장의 전면에서 총을 겨누는 남성과 구분해 후방에서 보국하는 여성을 간접적으로 가리킨다. 그리고 이는 1939년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일본 정부가 국민 총동원 체제를 구축하며 등장한 전쟁의 표상이기도 하다. 즉 전시(戰時) 상황을 전장(戰場)과 후방(총후)으로 구별한 전략인 것이다. 최근의 전쟁 미술 연구에 있어서 총후 미술은 다소 부수적이고 주변적인 연구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당시 총후 미술로 동원된 다양한 시각 이미지들과 이미지 생산 배경의 재해석이 없고서는 전쟁 미술의 전모가 잘 드러나기 어렵다고 본다. 식민지 관전 미술에서 요구된 지방색채, 향토색 등은 대체로 피식민지 미술가에게 가장 중요한 예술적 성취였다. 그러나 대만인 여성화가 천진(Chen, Jin, 1907~1998)이 원주민 여성을 제재로 제작한 <산디먼사(shandimenshe)의 여인>(1936)은 단순한 향토미의 구현으로만 설명되기 어렵다. 당시 그녀가 작품 제작에 매진한 시기는 바로 대만총독부가 남진 정책으로 동남아를 향해 군국화로 나갔던 때였다. 향후 태평양 전쟁의 발발로 전시(戰時) 체제 아래 미술 제도는 정치적인 획일성을 드러내게 된다. 이 때 ‘여성’은 후방에서 전쟁을 위해 동원되는 대상이었고, 국가가 요구한 ‘총후의 여성’상이 되어야 했다. 즉 남성 부재를 대체하고 전쟁에 조력해야 할 책무가 총후의 여성에게 있었던 것이다. 총후의 여성 이미지 중 천진의 작품 속 일본/대만의 식민 구조는 다시 대만/원주민이라는 피식민지 속의 이중적 타자성으로 반복된다. 일본이 패전을 맞이하고서야 여성은 마침내 ‘총후’의 의무에서 해방되었다. 이러한 ‘총후 여성’은 전쟁의 표상이자 극복의 대상이라 하겠다.
외국어초록
The Japanese idea of ‘the home front(Japanese: jūgo, lit: behind the gun)’ was formed during World War II, indirectly indicating women who serve for the country in the civilian area, home, while men fight in the front line. In 1941, the Japanese government started the Pacific War and legislated the National Mobilization Law.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home front emerged as the representation of war. The wartime situation was strategically divided into the battlefield and the home front. Recent studies on wartime art have a tendency to marginalize artworks related to the home front. Yet to fully understand the art during wartime, these diverse visual images of the home front and their backgrounds should be reinterpreted. The art exhibitions run by the colonial government valued the idea of local color, making it the most important artistic achievement for artists of the colony. However, Woman of Shandimen sha by Taiwanese female painter Chen Jin(1907-1998), describes a Taiwanese indigenous woman, yet is difficult to simply define it as an embodiment of local color. Chen painted this work during the time of the Government-General of Taiwan’s enforcement of southward expansion policy toward Southeast Asian countries as a part of their militarization plan. The government policies and system on art became uniform during wartime, especially with the Pacific War on the way. ‘Women’ were mobilized on the home front in order to support the war, representing the image of ‘women on the home front’, which was basically what the government aimed for. They were obligated to fill the absence of men and support the war. The image of women on the home front in Chen’s painting has a twofold otherization structure within it: first, Japan, the colonial ruler, otherizing its’ colony Taiwan, and second, Taiwan otherizing its’ indigenous people. Japan lost the war in 1945 and women were finally released from the duty of ‘the home front.’ ‘Women on the home front’ is a representation of the war, and also an image to overcome.
참고 문헌
키워드
전쟁, 표상, 총후, 여성, 원주민, 천진, 산디먼사 陳進, 山地門社 war, representation, Home Front, women, indigenous peoples, Chen Jin, Shandimensha
PDF 문서
논단52_흑백_내지_문정희.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