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2 호
제목
한국 개화기의 ‘풍경화’ 유입
원어 제목
Introduction of Landscape Painting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in Korea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홍선표 洪善杓   지음
발행일자
2021.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101-131쪽 / 총 31쪽
국문초록
‘풍경화’는 ‘산수화’와 다르게 인간 중심으로 일상적인 자연을 한 시점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응시하고 지배하는 근대적인 자연관 또는 세계관과 결부되어 이루어졌다. 인간이 자연의 중심 존재인 인식의 주체로 시각을 특권화하여 세계와 사물을 대상화하여 보려는 생각, 즉 현재의 세상을 인식하는 시스템이 시각중심으로 바뀌면서 태동된 것이다. 미술의 어떤 제재보다 가장 시지각과 밀착된 ‘풍경화’는, 19세기 서구 근대회화의 주류를 이루며 전 세계 미술의 근대화를 이끌었다. 이성과 계몽주의가 싹트던 개신교의 나라 네덜란드에서 17세기 무렵 회화공간의 탈성화(脫聖?)와 함께 새롭게 태어난 ‘풍경화’는 영국을 비롯해 유럽의 자연주의와 낭만주의에 의해 확장되었다. 특히 프랑스의 인상주의와 더불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동아시아에서도 19세기 후반 경부터 본격적으로 유입되었으며, 1876년 세계를 향해 문호를 열고 갑오와 광무개혁으로 시작된 대한제국의 개화기 전후하여 알려지고 들어오기 시작했다. 개화기 전후하여 ‘풍경화’의 유입이 용어를 비롯해 외국인 화가의 내한과 대중매체의 복제 이미지, 신교육의 도화과목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처럼 개화기에 들어 온 ‘풍경화’는 ‘서화’에서 ‘회화’로의 미술사적 대전환을 선도하며 사생적 리얼리즘에 의해 한국미술의 새로운 시대를 열게 한 의의를 지닌다.
외국어초록
‘Landscape painting’ has been formed on the basis of the human-centered modern view of nature, which gazes everyday nature from a fixed single viewpoint and, by extension, dominates it. This differentiates it from the East Asian tradition of ‘Sansuhwa(lit: Mountain and water paintings).’ Modern philosophy placed human beings as the subject of cognition, the center of the world, and by giving vision dominance over other senses, objectified the world and objects. This vision-centric turn in epistemology burgeoned the progress of modern landscape painting. Compared with other subject matters of painting, landscape is very germane to visual perception. Thus, during the 19th century, it became the mainstream subject of Western modern painting and led the modernization of art around the world. The modern notion of landscape painting first sprouted in the 17th century Netherlands. As this protestant nation entered into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rationalism, the Dutch paintings gradually broke away from Icon paintings, and new subject matters, such as landscape, emerged. Later on,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England, extended this genre under the influence of naturalism and romanticism. Along with French Impressionism, landscape painting became a global trend. East Asian countries accepted this genre around the late 19th century. Landscape painting made its name in Korea after the nation went into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1876. The term landscape painting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ublic, and several foreign painters visited Korea as well. Furthermore, the print images in mass media and art in the new education system brought the notion of landscape painting to Korea. Eventually, landscape painting pioneered the great turn in art history from traditional painting to modern painting, and the descriptive realism of this genre initiated the new era of Korean art.
참고 문헌
키워드
개화기미술, 풍경화, 풍경사진, 파노라마관, 휴버트보스, 아사이 추, 황철 Korean art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landscape painting, Landscape photography, Panorama museum, Hubert Vos, Asai Chu, , Hwang, Cheol
PDF 문서
논단52_흑백_내지_홍선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