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1 호
제목
중국 근대 ‘공민(公民)’과 조소: 기념 및 선전조각을 중심으로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이보연 李寶姸   지음
발행일자
2020.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183-214쪽 / 총 32쪽
국문초록
본 논문은 중국 근대 공화(共和)미술로서 근대 조소의 발전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중국은 신해혁명을 통해 오랜 전제시대를 마감하고 공화국을 건립했으나, 이후 좌우경 세력의 극단적 대립 속에 공화적 이상을 제대로 실현하기 어려웠다. 당시 공화이념의 영향 하에 예술 방면에서도 ‘미육론(aesthetic education)’이 제기되었는데, 근대 공공장소와 함께 출현한 공공조각은 바로 미술 방면에서 이를 대표하는 장르였다. 하지만 이후 공화개혁의 굴절과 함께 공공조각 역시 변질 및 왜곡되어갈 수밖에 없었으나, 일부 조각가들은 여전히 미육 이념에 따른 보편성과 합리주의의 가치를 이어가기 위해 노력했다. 이처럼 본고는 중국 근대 조소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실제 민국 미술뿐 아니라, 훗날 혁명사관에 기초한 민국 미술 연구에서 소홀히 되었던 중국 근대미술의 공화적 이상을 되돌아 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외국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meaning of modern Chinese sculpture as a form of Republican China’s modern art. China’s long history of autocratic rule came to an end when the Republican China was established following the Xinhai Revolution, but afterwards the country struggled to realize its republican ideals because of extreme partisanship between forces of the left and right. At that time, the theory of ‘aesthetic education’ was propounded in the art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republican ideology; public sculpture, which began to appear along with the advent of modern public places, was its representative art form. However, public sculpture later was inevitably degenerated and distorted, just as the Republican China’s reform itself was perverted. Nonetheless, some sculptors still endeavored to retain universality and the rationalist values based on the aesthetic education theory. This paper delve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Chinese sculpture and looks back on actual Chinese republican art as well as the republican ideals in modern Chinese art, which have been neglected in researches on republican art under the historical view focused on Chinese revolutions.
참고 문헌
키워드
중국China, 근대 조소modern sculpture, 기념조각monumental sculpture, 공공조각public sculpture, 공화republican, 공민citizens, 미육aesthetic education
PDF 문서
51_07.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