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1 호
제목
1990~2000년대 한국의 산수화: 진경(眞景) 신화의 해체와 재구성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이민수 李旼修   지음
발행일자
2020.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125-143쪽 / 총 19쪽
국문초록
이 글은 한국의 1990-2000년대 산수화를 분석함에 있어 다음의 세 가지 논점에 주목한다. 첫째, 근대 이후 산수화에서 줄기차게 거론되는 진경산수와의 연관성이다. 둘째, 포스트모던 시대 다원화 기조의 영향 아래 전통과 현대, 한국성과 동시대성, 산수화와 풍경화라는 이분법적 경계가 흐려진 점이다. 셋째, 1990년대 이전과 2000년대 이후 산수화의 지형도 변화이다. 유럽인들이 처음 동아시아의 산수화를 접했을 때 그들은 자신들이 알고 있는 풍경 개념을 바탕으로 산수를 이해했다. 또한 다분히 유럽 중심주의 시각에서 풍경과 산수를 동일시하면서 원래 산수화가 가진 사상적, 윤리적 맥락은 희석되어 버렸다. 문화적인 차이로 볼 때 이는 당연한 결과였을 것이다. 그러나 산수화는 풍경화보다 역사가 더 오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풍경화와의 유사성과 차이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개념이다. 반대로 우리 역시 산수화의 문맥으로 풍경화를 말한다는 것이 한계가 있음을 알고 있다. 문제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진경산수화를 포함한 조선의 산수화가 근대적인 맥락으로 변용되면서 서구와 일본, 그리고 조선의 문화적, 미학적 개념이 혼성되는 과정을 거쳤다는 점이다. 그 영향은 20세기 후반을 거쳐 1990년대와 2000년대의 산수화에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지속이 곧 불변을 뜻하지는 않는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이 글에서 2000년대를 전후로 한 산수화를 설명함에 있어 ‘해체와 재구성’을 키워드로 제시하고자 한다.
외국어초록
This analysis of the Korean landscape painting in the 1990s and 2000s focuses on three issues in particular. First, its relation to true-view landscape painting (Korean: Jinkyoung-sansu-hwa), which has been mentioned ever since modern times. Second, the dismantling of dichotomie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Koreanity and contemporaneity, East Asian landscape painting (Chinese: shanshui-hua, Korean: sansu-hwa) and Western landscape painting, which was driven by pluralization in postmodern perspective. Third, the geographical change between the landscape paintings of the 1990s and 2000s. When the Europeans first encountered the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of East Asia, their frame of reference was set to Western standards. On the basis of Eurocentrism, they regarded the East Asian concept of landscape in the same light as the Western landscape and diluted its’ original philosophical and ethical context. This might have been the natural consequence of cultural differences. However, East Asian landscape painting has a much longer history and shows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Western landscape painting. On the other hand, East Asians are prone to understand the Western landscape painting in the context of their own landscape painting, but this approach obviously has its own limits as well. The most critical problem was crea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Korea. Around that time, the traditional Korean landscape painting went through the modernization process and the cultural and aesthetic concepts from the Western world, Japan, and Korea got mixed together within it. The influence of that incident prevailed in the 20th century and is still valid today. However, continuity does not always guarantee permanency.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deconstructing and reconstituting” as a keyword to explain landscape painting around the 2000s.
참고 문헌
키워드
한국화Hangukhwa, 2000년대 산수화 Korean Landscape Painting in the 2000s, 사생drawing from life, 시각성visuality, 실경산수화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 진경산수화 true-view landscape painting, 해체, 해체와 재구성
PDF 문서
51_05.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