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0 호
제목
1950년대 동양화단의 민족성 담론과 그 실체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송희경 宋憙暻   지음
발행일자
2020.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299-321쪽 / 총 23쪽
국문초록
1950년대의 동양화단은 당시 미술계의 직면 과제였던 ‘민족성 수립’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담론과 창작 방법을 제시했다. 특히 해방 직후에는 왜색을 탈피하고자 수묵의 필선과 담채 기법을 선택했다. 그 결과 1회 국전에는 호분의 남용, 섬세한 필선으로 대표되는 일본화의 특징을 거부하고, 맑은 선염이 돋보이는 담채를 위주로 한 그림이 다수 출품됐다. 그러나 6.25전쟁 이후에는 민족성 수립을 위한 방법론으로 ‘시대성’이 출현했다. 동양화가들은 시대성의 실현을 위해 동시대적 풍속을 선정했고, 서구미술의 양식을 적극 수용했다. 동양화단에서 민족성이 시대성을 호명하며 서구 미술을 견인할 때 그 대안으로 추상이 부각됐다. 동시에 동양화의 현대성도 거론됐다. 민족성 수립의 과제가 왜색 탈피에서 시대성 구축으로 변환될 때 동시대 풍속과 추상을 가장 신선한 조형성으로 인식하고, 이 과정에서 동양화의 현대성이 이룩된다는 논지다. 민족 미술과 연관된 시대성 담론은 국전 외부에서 더욱 활발히 발언됐다. 그리고 195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소재 선택에서 양식의 수용으로 전환됐다. 이러한 변화는 이응노와 김영기의 개인전 비평문에서 목격됐다. 이렇듯 1950년대 동양화단은 숙명과 같은 과업인 ‘민족성’ 수립을 위해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했다. 언뜻 보기에 서로 결이 맞지 않는 ‘동시대 풍속’, ‘추상’, ‘현대성’은 전통의 계승과 시대성 구축을 위해 동양화가들이 어렵사리 조합한 민족성 수립의 해법이었다.
외국어초록
The Oriental painting world of the 1950s suggested diverse discourses and creative methods to solve issue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haracteristics’: a challenge the art world directly faced after the Liberation. Oriental painters after the Liberation chose certain techniques like ink wash brush strokes and light colouring to shed Japanese styles from their work. Consequently, the first National Art Exhibition displayed paintings that rejected the traits of Japanese paintings -- mainly represented by the abuse of whitewash and delicate brush strokes -- and concentrated on the clear light colouring. However, after the Korean War, the epochal characteristics of the 1950s instead emerged as a methodology to establish the sense of nationality. Oriental painters chose contemporary customs to actualize the epochal characteristics and actively embraced the styles of Western art. Furthermore, abstraction arose as an alternative when the national traits elicited Western art by summoning the epochal characteristics in assessments of Oriental painting. Simultaneously, the modernity of Oriental painting was also mentioned. This was an argument that its modernity would be accomplished through certain methods such as contemporary customs and abstract, which was considered the freshest style then. Such a phenomenon was present notably when the assignment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traits converted to materializing epochal characteristics beyond simply shedding Japanese styles. The epochal characteristic discourse that defined national art was, unlike the shedding of Japanese styles, expressed more actively outside the National Art Exhibition. Moreover, since the mid-1950s, it changed from the selection of materials to the embracement of modes. Such transformations were witnessed in the assessments of solo exhibitions by Lee, Ungno and Kim, Younggi. Hence, the Oriental painting world in the 1950s proposed various methodologies to construct national characteristics, a destined task of the discipline. Contemporary customs, abstraction, and modernity -- three things that do not appear very accordant at a glance -- were a solution to establishing the national traits Oriental painters put together with difficulty to bequeath traditions and construct the epochal characteristics of the 1950s.
참고 문헌
키워드
1950년대1950s, 민족성national characteristics, 동양화oriental painting, 시대성epochal characteristic, 추상abstraction, 국전 the National Art Exhibition, 현대성modernity, 이응노Lee Ungno, 김영기Kim Younggi
PDF 문서
50_1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