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0 호
제목
『미구회람실기』(1878)의 도자관련 기록 검토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장남원 張南原   지음
발행일자
2020.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273-298쪽 / 총 26쪽
국문초록
『특명전권대사 미구회람실기(特命全權大使 米歐回覽實記)』(1878, 이하『미구회람실기』)는 메이지 일본의 공식 사절단이었던 이와쿠라(岩倉) 사절단이 1871년부터 1873년 사이에 유럽과 미국 등지를 탐방하고 돌아와 출간한 공적 기록물이다. 이 가운데 『미구회람실기』의 도자관련 기록들은 각 지역별 도자에 대한 총설과 제작공방의 시설, 생산과정, 도자기 컬렉션에 대한 방문과 관심, 기술, 조형, 기법 등에 대한 검토, 도자기의 용도와 생활상, 그리고 단편적이지만 도자기의 역사에 대한 개설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국의 산업과 공업기술, 광물자원 등에 대한 정보가 많고 나아가 그것들을 제작 가공하려 실용하는 정황에 대한 관심이 상당했기에 『미구회람실기』에 수록된 도자관련 견문내용은 일본 및 한국 근대 공예의 이론적 기반과 전개의 방향을 다시 확인할 수 있는 기초 자료이다. 유럽 여러지역을 순람하면서 저명했던 도자기 공장들을 방문하고 박물관의 전시품들을 보게되면서 그 제작과 수집현황 및 도자기의 조형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였으니, 순람이 근대적 도자공예 기술과 디자인등에 대한 자극과 구체적 경로를 확인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들은 경험한 미구(米歐) 각지의 요업기술과 도자조형, 각국 도자기의 수집과 전시, 빈 만국박람회를 통해 자신감과 가능성 보았다. 예술공예로서 도자기의 기본을 유지하면서 기계공업과 수공업의 공존위에 발전을 모색하게 된다면 전통적인 우수한 도자기술을 지키면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제품의 생산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본 것이다. 결국 식산흥업정책 아래 이루어진 기술개량과 새로운 디자인을 착장한 미술공예품으로서 도자의 변화를 이끌게 된 셈이다. 그 결과 도자기 제작을 예술의 영역의 수공예와 산업으로 분리하여 바라보게 되었고 이미 수준 높은 전통 기술을 확보하고 있던 일본의 요업을 기저에 두면서 그 위에 영국이나 프랑스 등 서구적 산업화로 세계시장에 진출하려는 열망을 실현할 수 있는 정책수립으로 이어졌다. 나아가 가마의 개량과 태토의 개선, 새로운 안료도입 등 도자분야의 기술의 개혁은 일본 자국내 요업은 물론 이후 일제의 한반도 강점 과정에서 구체화되어 요업시험소나 경질도기주식회사 같은 근대적 단위의 한국내 설치로 구현되었다.
외국어초록
Tokumei Zenken Taishi Bei-? Kairan Jikki, usually abbreviated as Bei-? Kairan Jikki, is the official record of the Iwakura Mission’s diplomatic journey to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between 1871 and 1873, published in 1878. Writings related to ceramics in Bei-? Kairan Jikki include general introduction and short history of ceramics in each country, accounts of ceramic workshop facilities and manufacturing process, assessments of design, technique and technology, as well as descriptions of ceramic collections and the use of ceramics in Western culture. During the journey, the aim of the mission was to gather a wealth of information on industry, engineering technology, and mineral resources of each country in order to satisfy the nation’s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exploitation of these resources and technologies. In this respect, records on ceramics in Bei-? Kairan Jikki can also be understood as significant primary sources that suggest theoretical foundation and orientation of 'modern crafts' in Japan and Korea. In Bei-? Kairan Jikki, contemporary ceramic productions, collections, and shapes of specific ceramics which the mission witnessed during the tour of renowned ceramic factories and museums in Europe were depicted in detail. A detailed account of Japanese observation on ceramics indicates that the tour had encouraged the mission to reflect on the status of Japanese crafts and, as to new technologies and designs of the West, to trace the source of inspirations. Members of the mission also saw potential and self-confidence in Western collections and exhibitions of ceramics, including the Weltausstellung 1873 Wien, as well as ceramic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designs of the industrialized West. They believed that the balanced promotion of both mechanical and manual industries, under the condition of viewing ceramics as arts and crafts, would enable Japan to preserve pottery-making tradition and create commercial profits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the Iwakura Mission consequently changed the course of domestic production of ceramics, which became regarded as both works of art and merchandises by embracing new design and technical improvement under the rubric of policies to increase production in industrial enterprise. This event therefore led to the binary perspectives on ceramic production in Japan; viewing as artistic handicraft on the one hand, considering as manufacturing industry on the other hand. Accordingly, based on traditional Japanese potteryproduction system already firmly established with sophisticated technology, Japan promoted policies aimed at industrial modernization and entry to the global markets. Furthermore, reforms in ceramic manufacturing technologies-e.g. the improvement of kilns and kaolin, the adoption of new pigments-became reified in subsequently established modern institutions such as the Laboratories of Ceramic Industry and the Nippon Koshitsu Toki Kaisha found both in Japan and colonial Korea.
참고 문헌
키워드
『미구회람실기』Bei-? Kairan Jikki, 이와쿠라 토모미Iwakura Tomomi, 공예crafts, 석고성형plaster casting, 고령토 kaolin, 상회overglazed painting, 빈 만국박람회Wiener Weltausstellung
PDF 문서
50_10.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