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0 호
제목
한국 현대조각 연구사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특집논문
저자
김이순 金伊順   지음
발행일자
2020.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29-55쪽 / 총 27쪽
국문초록
본 논문은 해방 이후에 제작된 조각작품에 관한 연구의 역사를 살펴본 글이다. 한국 근현대미술사 연구에서 해방 이전을 근대미술로, 이후를 현대미술로 나누는 방식을 따라 이 글에서도 해방 이후의 조각을 다루는데, 실제 작품에서도 해방 이후에 크게 변화했다. 1925년에 김복진이 동경미술학교 조각과를 졸업하고 조각가로 활동하면서 전통조각과는 전혀 다른 조각이 전개되었다. 불교조각이나 무덤조각과 같이 삶에서 소용이 되는 조각이 아닌 순수미술로서의 ‘조각’이라는 장르가 한국미술사에서 등장한 것이다. 근대기에는 조각가의 수가 적었을 뿐 아니라 깎거나 살 붙임의 기법으로 제작한 사실적인 인물상이 조각작품의 거의 전부였기 때문에 한국 근대조각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지 않다. 해방 이후에 추상조각이 등장하고 다양한 기법과 재료로 새로운 개념의 조각이 등장하였다. 현대조각은 그 스펙트럼은 매우 넓어져서 ‘조각’이라는 장르로 범주화하기조차 어려워졌다. ‘입체’라는 용어가 등장하여 ‘조각’이라는 용어와 혼용되고 있으며, 조각에 공간이 더해지고 재료가 다양해지면서 ‘탈조각’의 현상이 일어났고 ‘설치미술’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이렇듯 장르의 경계가 모호해졌지만, 이 글에서는 한국 현대미술 연구에서 ‘조각’이라는 미술 장르 안에서 논의된 연구의 내용을 살펴보고 있다. 한국 현대조각에 관한 연구는 1990년을 기점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이전에는 주로 개괄적인 연구이며 회화사 논의의 부차적인 요소로 다루어졌다. 1990년대에는 조각 전문연구자가 등장하면서 한국 현대조각의 특성에 관한 논의가 심도 있게 전개되었으며 연구 내용도 적잖이 축적되었고 관점도 다양해졌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논의의 순서는 우선 한국 현대조각의 흐름을 개괄하거나 조각의 개념, 용어 등을 다룬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고, 이어서 순수조각과 공공조각으로 나누어서 고찰하고 있다. 논의 대상은 해방 이후에 제작된 조각을 다룬 연구서 및 학술지와 앤솔로지에 수록된 논문, 그리고 국립 미술관에서 개최한 전시 도록에 실린 글이다. 이 글의 궁극적인 목적은 한국 현대미술사 논의에서 회화 중심에 벗어나 균형 잡힌 시각으로 한국 현대미술사를 살펴보는 데 있다.
외국어초록
This paper studies history of the research on Korean sculpture after the liberation. In the same manner of analyzing modern art as before and contemporary art as after the liberation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this paper studies Korean sculpture after the liberation. In fact, a significant development in sculptural works has occurred then. In 1925, when Kim Bok-jin graduated from Tokyo Fine Arts School in sculpture and was actively working as a sculptor, his sculpture began to develop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 Instead of functional ones such as Buddhist or tomb sculptures, sculpture as fine art began to emerge as a new genre in Korean art history. In Korean modern days, not only were there just a few sculptors, their works were mostly based on methods such as carving or modeling realistic figures. Therefore, studies on Korean modern sculpture do not exist abundantly. After the liberation, abstract sculpture as well as newly approached sculpture with various methods and materials began to rise. However, a spectrum of contemporary sculpture became very broad that it was difficult to even categorize sculpture as one genre. After three-dimension was developed, its term has been used along with the term sculpture. Also, anti-sculpture became apparent as dimensions being involved and materials becoming diverse, and yet it came to have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installation art. Although, a boundary between genres became obscure, this paper analyzes various studies on sculpture within art genre in Korean contemporary art history. Studies of Korean contemporary sculpture can be classified into before and after the 1990’s while studies before the 1990’s were largely based upon its overview and the secondary element of studies in painting. In 1990’s, scholars of sculpture began to emerge, and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temporary sculpture started to expand deeply. Furthermore, objectives and perspectives on research came to accumulate little by little in various ways. This paper seeks the aspects of this phenomenon in detail, and the discussion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it overviews the development of Korean contemporary sculpture, and analyzes the studies that achieved concept and terminologies of sculpture. Then it examines into two subject matters, sculpture as fine art and sculpture as public art. The subject of discussion is based on research papers, academic journals, scholarly articles from anthology, and writings from the exhibition catalogue from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covering Korean sculpture after the libera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ceed discussions which have been primarily in painting, and to examine Korean contemporary art history in equitable perspectives.
참고 문헌
키워드
한국 근대조각 Korean modern sculpture, 한국 현대조각 Korean contemporary sculpture, 공공미술 public art, 추상조각 abstract sculpture, 구상조각 figurative sculpture,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new genre public art
PDF 문서
50_02.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