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9 호
제목
아시아와 여성, 추상미술의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문정희 文貞姬   지음
발행일자
2019.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
수록면/분량
195-216쪽 / 총 22쪽
국문초록
최근 2010년대 들어와 서구의 대규모 미술관들은 미술의 세계화와 발전이 가속화된 가운데 현대미술에 대한 역사화를 시작했다. 그리고 이 시기 현대미술에서 아시아와 여성 주체의 미술은 반서구중심주의 등장 이후 탈중심론의 주요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한편 현대미술의 역사에서 추상미술은 서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그 속에서 아시아 여성 미술의 현주소를 가늠한다는 것은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는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아시아 추상미술에서 특히 여성 작가는 남성의 지위가 보존된 강한 결속력의 운동성 속에서 오히려 자발적이고 자의적인 창작의 주체로서 의의를 지닌다. 특히 1950년대 일본의 여성 작가들은 전위적이고 독보적인 행보를 보여주었고, 한국의 1960년대 여성 작가들은 서구와 전통이 대결하는 숙명적 구도 속에서 긴 생명력을 이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아시아 추상미술의 역사화 과정에서 여성 추상화가들이 지닌 진보적 성취와, 복수의 현대미술이 지니는 다양한 해석에 초점을 맞춰 고찰하고자 한다.
외국어초록
Recently, coming into the 2010s, large-scale Western art museums started historicizing contemporary art while globalization in art and its development are accelerating into greater speed. Also during this time, Asian art and artworks of female subjectivity in contemporary art became the main subject of decentralism after the emergence of Post-Westcentrism(also Post-Eurocentrism). Since abstract art in contemporary art history has been comprised mainly in the West, judging the current state of Asian female art is a crucial assignment to transgress the restriction of West-centrism. Especially, the fact that female artists in Asian abstract art hold their positions as voluntary subjects of creation in a male-dominant movement has a great meaning. Particularly, Japanese female artists of the 1950s showed an avant-garde and unrivaled movement and Korean female artists of the 1960s continued on their long vitality during a fatalistic confrontation between the West and Korean tradition. This dissertation puts its focus on investigating the progressive achievements of female artists in the process of historicizing abstract art and diverse interpretations of plural contemporary art.
참고 문헌
김희영 Kim, Heeyoung, 「한국 추상회화 형성기의 미술비평에 대한 비판적 성찰 A Critical Study on Korean Art Criticism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Korean Abstract Paintiong」, 『미 술사논단 Art History Forum』 37, 2013. 12, pp.269-293. 문정희 Moon, Junghee, 「중국 ‘후냉전 후’의 추상미술: 대만 화가 쉐바오샤(薛保瑕)의 ‘유동현 실’ After-Post-Cold War Abstract Art in China: the Flowing Reality if Ava Hsueh」, 『미술 사논단 Art History Forum』 37, 2013. 12, pp.325-348. 아처, 마이클 Archer, Michael, 오진경·이주은 옮김 Oh, Jinkyeong, Lee, Jooeun trans., 『1960년 이후의 현대미술 Art since 1960』 서울: 시공아트 Seoul: Sigong Art, 2007. 이민수 Lee, Minsoo, 「한국화의 형상 표현과 현실 인식의 재조명: 1930년대 이후 국내화단의 구 상·추상 논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igural Representation and Consciousness of Reality in ‘Korean Painting(Hangukhwa)’: Focusing on the Debates between Figurative and Abstract Arts in Korea since 1930s」,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 D. diss., Hongik University, 2019. 『她的抽象 The Herstory of Abstraction in East Asia』, 臺北: 臺北市立美術館, Taipei: Taipei Fine Arts Museum, 2019. 威斯格玆, 海倫 Westgeest, Helen, 曾長生 (翻譯) Tseng, Pedro trans., 『禪與現代藝術:現代東 西方藝術互動史 Zen in the fifties: Interaction in Art between East and West』, 臺北 Taipei: 典藏 Art & Collection, 2007.
키워드
아시아, 여성, 추상미술, 탈서구중심주의, 복수의 근대, 글로벌라이제이션
PDF 문서
49_7.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