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9 호
제목
"1920~1930년대 한국의 후기인상주의 수용 양상: 김주경의 폴 세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이애선 李愛善   지음
발행일자
2019.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
수록면/분량
171-191쪽 / 총 21쪽
국문초록
1920-30년대 한국근대미술이 일제강점기 일본의 아카데미즘인 외광파의 영향권에 있다는 학계의 정론을 재고찰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 이 논문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1920-30년대 후기인상주의 수용 양상을 고찰하고, 그러한 흐름의 저변에 있는 담론과 사건을 고찰하고자 했다. 1920년대 초반부터 김찬영을 비롯한 필자들은 인상주의와 후기인상주의를 대립관계로 보고, 주어진 사실을 객관적으로 묘사하는 미술이 아니라 작가의 주관적인 변형을 중요하게 여기는 표현에 중점을 둔 후기인상주의를 수용했다. 이 시기의 우리나라 후기인상주의는 일본에서 후기인상주의를 수용했던 시라카바(白華)파의 담론과 많은 부분에서 공명하고 있다. 1930년대에도 국내 화단에서 후기인상주의는 중요한 흐름이었으며, 1930년대 초반부터 토대-상부구조론에 입각한 후기인상주의론이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1930년대 우리나라 작가들은 식민지 조선이 이제 막 자본주의에 들어서는 경제발전단계이기 때문에 이러한 토대에 조응하는 상부구로서 후기인상주의가 적절하다는 논리이다. 이러한 견해는 초현실주의를 비롯한 신흥미술에 대한 비판으로까지 이어진다. 즉, 자본주의가 성숙한 유럽의 초현실주의를 비롯한 신흥미술은 수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후기인상주의 담론은 폴 세잔에 대한 독특한 특징 분석- 질감, 명확한 대상파악, 과감한 색채배열, 표현의 단순화, 대상의 단순화, 원근색 혼합 등-으로까지 이어진다.
외국어초록
Joseon painters have been seen accepting the Japanese academism, Pleinairisme, but Kim Chan-yeong, Shim Yeong-seop, and Kim Ju-gyeong, who were Western-style painters and critics of the 1920s, left the argument for postimpressionism. In 1921, Kim Chan-yeong refers to Matisse as a master of Postimpressionism, second, he divided Impressionism into Pre-Impressionism that expresses factual descriptions and Postimpressionism that expresses subjectivity, and the latter was seen to be depicted as a confrontation against the former. Third, it is seen that deformation occurs when subjectivity is expressed. This characteristic is also a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Postimpressionism which Shirakaba circle embraced. Postimpressionism, which began to be accepted in the 1920s, when it came to 1930s, was spread widely enough. At the 1930s, Kim Ju-gyeong determined that Postimpressionism corresponded to Joseon's socio-economic level. In other words, unacceptable art is a superstructure that conforms to the mode of production in which capitalism developed in the 20th century, and so, surrealism and abstract art cannot match up in Joseon's social situation in which capitalism did not reach this stage. The representative artist of postimpressionism in the 1920s and 30s was Cézanne, and Kim Ju-gyeong analyzes the seven characteristics of Cézanne through a 1939 newspaper article. They are textures, clear objects, range of colors, simplification of expressions, color mixing, and simplification, etc. These formal characteristics of Cézanne and the direction of work production make it a human nature based on the nature of life.
참고 문헌
김용준 Kim, Yongjun, 「제구회 미전과 조선화단 9th Korean Art Exhibition and Korean Paintings」, 『중외일보 Jung-oeilbo』, 1930. 5. 24~28. 김주경 Kim, Jukyung, 「예술운동의 전일적 조화를 촉함(1) To Call for a Unified Harmony of the Art Movement」, 『조선일보 Chosun Ilbo』, 1928. 2. 14. 김주경 Kim, Jukyung, 「녹향전을 앞두고-그림을 어떻게 볼까(四) Ahead of the Noghyanghoe Exhibition: How to See the Painting」, 『조선일보 Chosun Ilbo』 1931. 4. 8. 김주경 Kim, Jukyung, 「화단의 회고와 전망 조선미술은 어대까지 왔는가 Retrospects and Prospects in the Art World: How Far Did Korean Art Progress?」, 『조선일보 Chosun Ilbo』, 1932. 1. 1~1. 9. 김주경 Kim, Jukyung, 「세계명화이면의 일화 The Story Behind the World Famous Paintings」, 『동 아일보 Dong-A Ilbo』, 1937. 11. 3.~1937. 12. 8. 김주경 Kim, Jukyung, 「쎄잔의 생활과 예술 - 그의 생후백년제를 당하여 Cézanne’s Life and Art: in Honor of His Birth 100th Anniversa ry」, 『동아일보 Dong-A Ilbo』, 1939. 3. 30. 김주경 Kim, Jukyung, 「현대회화사상의 분수령 - 쎄잔 생후 백년제를 당하여 Watershed in Contemporary Art Discourse: in Honor of the Paul Cézanne’s Birth 100th Anniversary」, 『동아일보 Dong-A Ilbo』, 1939. 4. 2~4. 7.
키워드
김주경, 오지호, 김찬영, 심영섭, 폴 세잔, 후기인상주의, 인상주의, 야나기 무네요시
PDF 문서
49_6.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