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9 호
제목
일본 16~17세기 세계지도병풍 연구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이정은 李姃恩   지음
발행일자
2019.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
수록면/분량
113-142쪽 / 총 30쪽
국문초록
일본 세계지도병풍은 일본과 유럽이라는 두 문화의 접촉과 만남의 정황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시각적인 자료로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다. 유럽에서 유입된 세계지도를 원형으로 하지만, 유럽의 원형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소들을 적절히 편집, 조합하여 일본의 전통적인 시각 매체인 금병풍 한 쌍으로 재배치했다는 면에서 세계지도병풍은 일방적인 수용이 아닌 당시 일본인들의 관심을 보여주는 새롭게 고안되고 재창조된 이미지라 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남만병풍의 하위 장르로 부수적으로 다루어진 세계지도병풍은 현존하는 20여 점의 병풍이 각기 다른 구성요소의 조합을 보여주고 있어 개별 작품을 통해 후원자의 취향이나 관심사를 반영한다는 중요성을 역설한다. 본 논문에서는 왜 세계지도병풍이 16세기 말 17세기 초 집중적으로 제작되었으며, 다양한 조합과 구성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개별적으로 좀 더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했다. 현전하는 작품의 유형을 크게 두 가지로 분석하고, 각 유형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조토쿠지 소장본과 궁내청 소장본 병풍을 통해 당시 정치, 경제적인 배경과 더불어 세밀한 시각 분석을 통해 각각의 구체적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특히 후원자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재검토하고자 했다. 또한, 16, 17세기 외부 세계의 인식을 통해 일본이 세계 속에서 스스로에 대한 객관적 인식과 더불어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아이덴티티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논의함으로서 세계지도병풍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보고자 하였다.
외국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why Japanese world map screens were made and what was the hidden meaning of their production in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in Japan. Japanese world map screens were made towards the end of the 16th century and at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While they were generally modeled after world maps produced in Europe, the Japanese either modified the European prototypes or incorporated new elements. Therefore, they are important visual testimonies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Japan and the West in the early modern period. By taking into account both their cartographic and pictorial nature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and the economic contexts in which they were produced,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wo sets of world map screens. These two sets of screens are the most elaborate examples of the two world map screen types: One is the world map screens from Jōtokuji Temple, which prominently show political concerns of the time, and the other is the world map screens from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in Tokyo, which demonstrate economic interests of the Japanese ruling class. By analyz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works, this study suggest their possible patronage in connection with both the novel features of the images on the screens and the interests of the Japanese rulers; Toyotomi Hideyoshi and Tokugawa Ieyasu. Also, it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map screens reflected and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identity that followed the growing self-awareness of the Japanese people in the late 16th early 17th centuries.
참고 문헌
Frois, Luis, 『フロイス日本史 Furoisu Nihonshi』, vol.15, trans. 松田毅一·川崎桃太 Matsuda Kiichi and Kawasaki Momota, 東京: 中央公論新社 Tokyo: Chuo koron shinsha, 1981. 川崎桃太 Kawasaki, Momota, 『フロイスの見た戦国日本 Furoisu no mita senkoku nihon』 東京: 中央 公論新社 Tokyo: Chuo koron shinsha, 2006. 岸野久 Kishino, Hisashi, 『ザビエルと東アジア: パイ才ニアとしての任務と軌跡 Zabieru to Higashi Ajia: paionia to shite no ninmu to kiseki』 東京: 吉川弘文館 Tokyo: Yoshikawa Kobunkan, 2015 三好唯義 Miyoshi, Tadayoshi, 「P.カエリウス 1609年版世界地圖をめぐって P. Kaeriusu 1609 nanban sekai chizu o megutte」, 『神戶市立博物館硏究紀要 Kobe shiritsu hakubutsukan kenkyu kiyo』 1, Mar. 1984, pp. 3-24. 三好唯義 Miyoshi, Tadayoshi, 「屛風になった世界地圖 Byobuni natta sekai chizu」, 『圖說世界古 地圖コレクション Zusetsu sekai kochizu korekushon』, 東京: 河出書房新社 Tokyo: Kawade Shobo Shinsha, 1999, pp.88-97. 室賀信夫 Muroga, Nobuo, 「新しい世界の認識:南蠻世界圖屛風 Atarashii sekai no ninshiki: Namban sekaizu byobu」, 『探訪大航海時代の日本 Tanbo daikokai jidai no Nihon』 vol.5: 日本からみた異 國 Nihon kara mita ikoku, 東京: 小學館 Tokyo: Shogakkan, 1978, pp.93-102.
키워드
세계지도병, 남만미술, 일본회화, 모모야마시대, 에도시대, 예수회, 일본과 유럽, 양풍화
PDF 문서
49_4.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