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9 호
제목
광통교의 구(舊) 정릉(貞陵) 석물 연구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김이순 金伊順   지음
발행일자
2019.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
수록면/분량
83-112쪽 / 총 30쪽
국문초록
한양에서 가장 중요한 다리인 청계천 광통교는 1410년에 돌다리로 조성되었다. 광통교를 돌다리로 급히 건설하면서 신덕왕후 정릉을 현재의 정릉동으로 천장하고 남겨두었던 석물을 이용하였다. 조선왕실의 무덤을 천장하고 남겨둔 석물을 다리 축조에 재활용한 것은 이례적이며 더구나 석물의 문양이 훼손되거나 거꾸로 놓인 경우가 있어서 대중의 흥미는 끌었지만, 학술적 연구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천장된 새 정릉의 석물과 함께 광통교에 移用된 구 정릉 석물을 면밀히 분석하여 구 정릉 석물의 역사적 가치를 규명하였다. 우선, 광통교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병풍석이 훼손되거나 倒置되어 있는 상태에 주목하였다. 이를 두고 태종과 신덕왕후의 정치적 갈등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통해 광통교 교대의 축조과정을 추정하였으며, 아울러 국초에 광통교를 서둘러 건설해야 하는 상황에서 木石의 공력을 덜고 일을 쉽게 하려고 정릉 석물을 재활용한 것임을 밝혔다. 광통교의 구 정릉 석물인 병풍석, 석인, 석수, 망주석 등과 함께 새 정릉에 배설된 장명등, 고석, 혼유석을 통해서 구 정릉 석물 체제의 전체적인 모습을 밝혔다. 구 정릉은 고려 공민왕릉과 같은 형식과 규모뿐 아니라 석물의 양식이 흡사했으면서도 우석의 금강저나 고석의 나어두의 표현은 오히려 태조 건원릉과 친연성이 있다. 이는 구 정릉이 공민왕릉에서 건원릉으로 이어지는 중간 단계의 양식으로 조성되었음을 의미하며, 조선왕릉의 典範이 된 건원릉은 공민왕릉보다는 당시 도성 안에 건재해 있던 신덕왕후 정릉을 참조했을 가능성이 크다.
외국어초록
The most significant bridge in Hanyang, Kwangtong Bridge of Cheonggye stream, was constructed as a stone bridge in 1410. As Kwangtong Bridge was hastily being built, tomb sculptures left when Queen Sindeok’s jeongneung (royal tomb) was moved to the current jeongneungdong were used for the construction. It is unusual in the Joseon dynasty to reuse sculptures left from moving a tomb for construction of a bridge. Moreover, damaged patterns of the sculptures and some upside down were able to grasp attention of the public; however, there were nearly no academic investigations. This study targeted to examine the historical value of the sculptures of the new and old jeongneung, used for Kwangtong Bridge. The study first puts its focus on the most obstructive parts of Kwangtong Bridge, the damaged and upside down byeongpung-seoks (flat patterned stones). This may reveal a political conflict between King Taejong and Queen Sindeok. This study used this assumption to suppose the process in the construction of Kwangtong Bridge. It also reveals that the purpose of sculpture-reuse was to reduce the amount of aerodynamic forces in using wood and stone and to make work easier in the situation where Kwangtong Bridge had to be speedily built in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Kwangtong Bridge’s sculptures, which are byeongpung-seok, seokin (human featured stones), seoksu (animal featured stones), and mangjuseok (stone pillars), and ones placed at the new jeongneung such as hanging lanterns, old stones, and long rectangular stones were used for revealing the old jeongneung’s overall structural basis. The old jeongneung not only has similar structure and size with King Gongmin’s tomb, but also their styles of sculptures are alike, while Guemgangjeos made of corner stones and naeodus (face of a beast biting a ring-handle) made of old stones are similar to those of King Taejo’s tomb. This reveals that the style of the old jeongneung sculptures was in-between the process of King Gongmin’s tomb continuing on to King Taejo’s tomb being built. Also, there are more possibilities of truth in the assumption that King Taejo’s tomb, the model of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is formed from the basis of Queen Sinduk’s tomb which was in the palace, instead of King Gongmin’s.
참고 문헌
김동욱 Kim, Dongwook, 「태종의 개천(開川)·장랑(長廊) 건설과 박자청: 한양건설에서 松都의 영향 Construction of Stream and Jangrang by King Taejong and Park Jacheong」, 『한국건 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Architecture History』 9, 2011. 김버들 Kim, Buedyel, 조정식 Cho, Jeongsik, 「박자청의 궁궐건축 감역 연구 A Study on the Palace Construction of Park Jacheong : Focusing on the Changdeokgung Palace and Detached Palaces」, 『건축역사 연구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26:1, 2017. 김이순 Kim, Yisoon, 「조선왕릉 석인 척도규범 연구 A Study on Dimension Regulations of Seokins in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미술사학연구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98, 2018. 박현국 Park, Hyeonkook, 『서울의 옛물길 옛다리 Old Waterway and Bridge in Seoul』, 파주: 시월 Paju: Siwall, 2006. 신재훈 Shin, Jaehun, 「조선 전기 천릉(遷陵)의 과정과 정치적 성격 The Procedure and Political Implication of Moving The Royal Tomb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朝鮮時代史學報 The Journal of Choson Dynasty History』 58, 2011.
키워드
조선왕릉, 왕릉석물, 정릉(貞陵), 공민왕릉, 청계천, 광통교, 병풍석, 신덕왕후(神德王后), 김사행(金師幸), 박자청(朴子靑)
PDF 문서
49_3.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