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9 호
제목
고려 중기의 북송과의 회화 교류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홍선표 洪善杓   지음
발행일자
2019.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
수록면/분량
53-82쪽 / 총 30쪽
국문초록
고려 초기 회화의 신경향을 계승한 고려 중기(약 1050~1150년)는 문종에서 의종 사이에 이르는 시기로, 문인화가의 탄생과 문인화론(literati painting theory) 및 화목(subject of painting)이 대두하기 시작했다. 우선, 화국(The Imperial Painting Academy of Goryeo, 畵局)이 설립되고, 명화(名畵)를 창작하는 이녕(Lee Nyeong, 李寧)과 같은 거장급 화사(Painter of Imperial Painting Academy)가 출현하여, 감상물 회화로의 전환을 본격화했다. 그리고 『어제비장전(Eojebijangjeon (including Eojebulbu and Eojejeonwonga), 御製秘藏詮)』 산수판화의 수용으로 인해 산수화가 발전하면서 실경산수화의 태동과 진화를 이루었고, 원체풍(院體風)의 정밀화와 함께 불교회화의 발전도 도모되었다. 고려 중기 회화의 이러한 질적인 변화와 비약에는 북송과의 회화교류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태조와 함께 현성지군(賢聖之君)으로 추앙된 문종이 이를 선도하였다. 본 연구는 고려 중기 회화의 이와 같은 비약을 견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당시 북송과의 회화교류를 문헌자료에 의거해 다룬 것이다. 문종 25년(1071) 3월, 고려와 송나라 사이의 통교가 재개되면서, 금나라의 수도가 함락되어 북송이 멸망하는 1127년까지 56년간 30여 차례에 걸친 양국 사절단의 왕래를 통해 회화 교류가 왕성하게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중국 회화의 황금기였던 북송 회화의 각종 경향이 유입되면서 고려 회화의 중세적인 감상물로의 전환이 본격화되었고, (북송 회화의 각종 경향은-LEE보충, 의미이해에만 참고) 고도의 원체풍 수립에도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 중기 회화의 북송과의 교류에 대한 규명은 아직도 혼미한 상태지만, 이는 당시 고려 회화에 대한 이해와 동아시아 회화사에서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초 작업으로서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의 간략한 자료 나열과 달리 정밀한 분석과 고증을 통해 고려 회화사의 통시적, 공시적 맥락에서의 실상을 복원하고자 한다.
외국어초록
The mid-Goryeo Dynasty (approx. 1050~1150), extended from the new tendencies of early Goryeo paintings, continued from King Munjong to Uijong. This period saw the rise of literati painters, theory, and subject of painting. To begin with, Hwaguk(畵局; the Imperial Painting Academy of Goryeo) was established, and painters such as Lee Nyeong(李寧) who created notable paintings emerged, accelerating a turn to paintings for appreciation. With the accommodation of Eojebijangjeon(御製秘藏詮; including Eojebulbu and Eojejeonwonga) Sansupanhwa(山水版畵; landscape print), Sansuhwa(山水畵; landscape painting)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Sansuhwa resulted the start and evolution of Silkyungsansuhwa(實景山水畵; real landscape painting). Also, Buddhist paintings developed with the hyperrealistic style of academic painting. Such qualitative change and shift in the mid-Goryeo dynasty was highly influenced by painting exchange with Northern Song led by King Taejo and King Munjong, who was adored as a benevolent and divine king. This study focuses on painting exchange with Northern Song,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bringing such shift to mid-Goryeo paintings based on written records. On March of the 25th year of Munjong (1071), the alliance between Goryeo and Song resumed. Since then, delegates of each country came and went for about 30 times actively proceeding painting exchange. This was until 1127, when the capital of Jin Dynasty fell down and Northern Song collapsed. By this, different tendencies of Northern Song paintings which informed the golden ages of Chinese paintings flowed in, and changed Goryeo paintings into medieval ones for appreciation. These tendencies were also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high-degree academic painting style. Investigation on the painting exchange between mid-Goryeo and Northern Song is still unclear; however, this study is critical in means of starting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paintings and the history of East Asian paintings. Therefore, this study plans to restore the true history of Goryeo paintings in both diachronic and synchronic contexts, with detailed analysis and historical research distinct from previous studies which solely displays a list of brief data.
참고 문헌
『江南通志 Jiangnan tongzhi』 『高麗史 Goryeo-sa』 『高麗史節要 Goryeo-sa Jeolyo』 郭若虛 Guo, Ruoxu, 『圖畵見聞志 Tuhuajianwen-zhi』 鄧椿 Deng, Chun, 『畵繼 Huaji』 孟元老 Meng, Yuanlao, 『東京夢華錄 Dongjing Menghualu』 米芾 Mi, Fu, 『畵史 Huashi』 徐兢 Seo, Geung, 『宣和奉使高麗圖經 Xuanhwafengshi Gaolitujing』 蘇軾 Su-shi, 『東坡全集 Dongpoquanji』 劉道醇 Liu, Tao-chun, 『五代名畵補遺 Wudaiminghua-zhi』 劉道醇 Liu, Tao-chun, 『聖朝名畵評 Sung-chao ming-hua ping』 李昉 Li, fang 等 編, 『太平御覽 Taipingyulan』 李濂 Li, Yan, 『汴京遺迹志 Bianjingyiji-zhi』 李仁老 Lee, Inro, 『破閑集 Pahan-jip』 張耒 Zhang, Lei, 『柯山集 Keshanji』 鄭方坤 Zheng, Fangkun, 『五代詩話 Wudaishihua』
키워드
고려회화, 회화교류, 북송회화, 원체풍, 상국사 벽화, 흥왕사 벽화, 청연각
PDF 문서
49_2.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