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8 호
제목
시각문화의 관점에서 본 한국 근대 산업유산: 철도역 급수탑을 중심으로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박은영 朴銀英   지음
발행일자
2019.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
수록면/분량
0-0쪽 / 총 쪽
국문초록
철도역 급수탑은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로, 한국에서는 대부분 일제강점기에 철도 건설과 함께 조성되었다. 본 논문은 국내의 철도역 급수탑을 시각문화의 관점에서 다룬 연구이다. 현존하는 급수탑 20건을 대상으로 하되 자료로 남아있는 옛 급수탑도 비교 대상으로 삼는다. 먼저 급수탑의 현황, 양식, 도상 등을 분석하고 나아가 급수탑의 기념비성을 밝혀 기억의 장소로서 그 가치와 잠재성을 제안한다. 급수탑의 형태는 전통적인 기념비 및 산업화 시대의 공장 같은 남성적 도상과 연결된다. 문화유산으로서 급수탑은 한국 근현대의 역사적 기념비로 간주된다. 즉 기계문명으로 대변되는 근대화의 상징적 기념비이며, 일제 강점의 역사와 기억을 상기시키는 식민시대의 기념비이고, 한국전쟁의 흔적을 지닌 반전기념비로 볼 수 있다. 오늘날 급수탑은 휴양이나 오락의 장소로서 탈산업적 문화공간이 되곤 한다. 지역의 명물로 재활용되어 그곳을 상징하고 홍보하는 또 다른 기념비가 되기도 한다. 그곳을 방문하는 대중은 과거에 대한 고정된 기억과 현재의 경험을 결합해 새로운 기억을 만들게 되고 그 기억들이 모여 이 시대의 문화적 기억을 형성한다. 기능을 잃고 퇴락한 급수탑들은 소멸, 상실, 부재를 증언한다. 그런 점에서 급수탑은 부정성(negativity)을 가리키는 반(反)기념비이기도 하다. 그러나 폐허가 사물의 최종단계가 아니라 탈기능화의 한 단계라고 보면 급수탑은 잠재적 기억의 장소로서 의미를 갖게 된다. 급수탑에 대한 지속적 대면을 통해 잠재된 기억을 활성화함으로써 트라우마를 드러내 치유할 수 있다. 또한 예술적 상상이나 개인적 접근을 유도해 기억을 왜곡과 억압으로부터 해방시키고 새로운 기억을 쌓을 수 있다. 이러한 실천은 사회에서 ‘몫(part) 없는’ 급수탑에 몫을 찾아주는 일이 될 것이다. 현존하는 철도역 급수탑은 응축된 기억이 드러나는 물리적・시각적 대상이며 새로운 시각 경험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오늘날 시각문화에서 주목해야 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외국어초록
Water towers at railway stations were facilities for supplying water to steam locomotives. In Korea, most of these water towers were built together with the railways constru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resent study addresses railway station water tower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culture. It examines 21 water towers still in existence, and also utilizes available data on removed water towers for comparison purposes. The study first analyzes the current status, style, and iconography of water towers, and then suggests their value and latency as memory-filled places by revealing their monumentality. The shape of these water towers is associated with masculine iconography such as traditional monuments and factories built in the industrial age. As cultural heritage, water towers are regarded as historical monuments of Korea. More specifically, water towers are symbolic monuments of modernization as represented by mechanized civilization. They are also monuments of the colonial period that elicit the memory and history of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nd antiwar monuments marked by the traces of the Korean War. Today, water towers sometimes become post-industrial cultural spaces, serving as places for recreation or entertainment. Sometimes they are recycled as local attractions, thus becoming another type of monument that symbolizes and promotes their localities. The people visiting such localities combine the fixed memories of the past with their present experiences to form cultural memories of this age. Dilapidated and having lost their function, these water towers give testimony to extinction, loss, and absence. In this respect, they are also anti-monuments signifying negativity. However, if falling into ruin is regarded not as the final stage of things, but as a stage in their de-functionalization, then the water towers acquire significance as places filled with latent memories. By activating these latent memories through constant encounter with the water towers, traumas can be exposed and healed. In addition, artistic imagination or personal approaches can be elicited so as to salvage memories from distortion and repression and store new memories. Such practices will accord a meaningful part to water towers that no longer have a “part” in our society.
참고 문헌
김종헌 Kim, Jong-hun·유우상 Yoo, Uoo-Sang·우동선 Woo, Don-Son; 「철도역사 급수탑의건 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현존하는 급수탑을 중심으로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Railway Station Water Towers in Korea: Focused on the Existing Railway Station Water Towers」, 『건축역사연구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46, 2006, pp.7-22. 노라, 피에르 Nora, Pierre; 김인중 Kim, Lynn Joong·유희수 Lew, Hee Soo 외 옮김 et. al. trans., 『기억의 장소 Les Lieux de Memoire』 1-5, 파주: 나남 Paju: Nanam, 2010. 달리, 질리언 Darley, Gillian; 김보현 옮김 Kim, Bohyun trans.; 『공장 Factory』, 서울: 홍디 자인 Seoul: Hong Design, 2007. 문화재청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급수탑(10개소) 등록문화재 기록화조사보고서 Report on the Registration and Survey of the Water Towers as the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대전: 문화재청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9. 센코카이 Senkoukai, 최영수 옮김 Choi, Youngsoo trans.; 『조선교통사 History of Transportation in Joseon』 1. 2, 3, 서울: 북갤러리 Seoul: Bookgallery, 2018. 아스만, 알라이다 Aleida Assmann; 변학수 Byun, Hak Su·채연숙 Chae, Yon Suk 옮김 trans.; 『기 억의 공간 Erinnerungsräume』, 서울: 그린비 Seoul: Greenbee, 2011. 이규헌 해설 Lee, Gyuhyun interpretation, 『사진으로 보는 근대한국 Modern Korea in Photographs』 상: ‘산하와 풍물’, 서울: 서문당 Seoul: Seomoondang, 1996. 이상행 Lee, Sang Haeng, 「한국 근대기 철도공장건축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Railway Workshop in Korean Modern Times」,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 Kyonggi University, 2010. 이용상 Lee, Yong-Sang·정병현 Chung, Byung-hyun·우초희 Woo, Cho-hee; 「한·일 간의 철도 유산 보존체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Rail Heritage Conservation System between Korea and Japan」,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Journal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10. 10, p.363. 정재정 Chung Jae Jeong, 『일제침략과 한국 철도 Japanese Invasion and Korean Railroads』, 서울대학 교출판부 Seoul Nation University Press, 1999. 조흥석 Cho, Hong-Seok·김정동 Kim, Chung-Dong; 「근대 적벽돌(赤甓乭) 생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Jeokbyeokdol (Red brick)' in Modern Korea」, 『건축역사 연구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9:6, 2010, pp.99-120. 한국철도건설공학협회 Korean Railway Construction Engineering Association, 『한국철도 사진 108년사 The History of 108 Years of Korean Railway Photography』, 서울: 한국철도건설공학협 회 Seoul: Korean Railway Construction Engineering Association, 2007. 한국철도청 Korea Railroad Administration, 『한국철도사 History of Korea Railroad』 3, 서울: 철도 청 SeoulKorea Railroad Administration, 1979.
키워드
철도역 급수탑, 산업유산, 근대문화유산, 시각문화, 기념비, 폐허, 몫 없는 이의 몫, 일제강점기
PDF 문서
48_08.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