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8 호
제목
근대기 재조선 일본인 여성 화가 연구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김소연 金素延   지음
발행일자
2019.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
수록면/분량
157-178쪽 / 총 22쪽
국문초록
본 연구는 20세기 전반 조선에서 활동했던 일본인 여성화가들의 존재를 밝히고, 그 성격과 화가로서의 활동을 조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동양화단의 도이 사이호(土居彩畝), 아다치 히데코(足立秀子), 다나카 후미코(田中文子), 서양화단의 미야케 야스코(三宅安子), 마츠사키 키미(松崎喜美)를 위주로 그들의 화계(畫繼)를 추적하여 교육배경, 조선이주의 계기, 주요 작풍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조선미전 동양화부에서 찾아볼 수 있었던 화려하고 세밀한 꽃의 묘사, 빽빽하게 들어찬 꽃나무와 바탕의 여백이 기술적으로 대조를 이루었던 화조화 작품들이 대부분 여성화가들, 특히 도이 사이호를 필두로 아라키 간포(荒木寬畝) 계열의 화풍이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서양화단은 제1고녀와 제2고녀의 여성 미술교사들의 활약과 함께, 야마다 신이치(山田新一)의 조선미술협회, 다다 기조(多田毅三)의 조선예술사를 통해 많은 여성작가들이 회화의 전문적인 수련의 기회를 얻었다. 서양화단에서는 특히 정물화가 큰 부분을 차지했는데, 일본 관전에서도 중요한 소재였던 달리아 꽃이나 프랑스 인형과 같은 여성들의 취미가 작품에 반영되기도 했다. 이 과정을 통해 대표적 재조선 일본인 여성화가와 여성화단의 실체를 포함, 일제강점기 일본미술계와 조선미술계의 관계, 이들이 주요한 활동무대로 삼았던 조선미전의 구성과 성격 등의 이해에 한 발자국 더 다가가 보았다.
외국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emale Japanese painters in Korea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to survey their characters and activities as painters. This study focuses on Doi Saiho, Adachi Hideko, and Tanaka Fumiko of Oriental painting, and Miyake Yasuko and Matsusaki Kimi of Western painting; it will trace their biographies as painters, examining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reasons for moving to Joseon, and their painting styles. This study especially highlights on the fact that the Bird-and- Flower paintings in the department of Oriental paintings of Joseon Art Exhibition – a gorgeous and detailed depiction of f lowers, a contrast between dense f lower trees and blank background – followed the style of Araki line led by Doi Saiho. Many female painters received the opportunity to learn western painting through Joseon Art Association of Yamada Shinichi and Joseon Art Company of Dada Gijou, along with the activities of female art teachers of the No. 1 Girl’s Secondary School and No. 2 Girl’s Secondary school. A still-life painting was especially a large part of the Western painting; the pastimes of women at that time, such as Dahlia and French dolls – also an important subject in the Japanese Government Exhibitions - were ref lected in their works. Based on this knowledge, this study takes another step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Art and Joseon Art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cluding the characters of the female painters who had not received enough recognition, and the organ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Art Exhibition where those painters were mainly active.
참고 문헌
『京城日報 Gyeongseong Ilbo, the Keijo Nippo』 『每日申報 Maeil Sinbo』 『朝鮮新聞 Chosun Shinmun』 『朝鮮日報 Chosun Ilbo』 한국미술연구소편 Center for Art Studies ed., 『조선미술전람회 기사자료집 The Chosun Art Ex hibition: Sources and Articles』, 서울: 시공사 Seoul: Sigongsa, 1999. 강민기 Kang, Mingi, 「근대 전환기 한국화단의 일본화 유입과 수용 Korean introduction of Japanese painting(Nihonga, 日本畵) in 1870’s to 1920’s」,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 Hongik University, 2005. 강민기 Kang, Mingi, 「근대 한일화가들의 교유-시미즈 도운(淸水東雲)을 중심으로 Companionship Between Modern Korean-Japanese Artists: Shimizu Toun As a Link」, 『한국근현 대미술사학 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27, 2014, pp.7-36. 김승익 Kim, Seungik, 「1910 ~1930년대 재한화가들의 조선미술전람회에 대한 논의-일본어 잡지 『조선과 만주』, 『조선공론』을 중심으로 A Discussion on the Joseon Art Exhibition of the Japanese Painter in Colonial Korea during 1910~1930: Focusing on the Japanese magazine Choseon and Manchuria and The Chosen Review」, 『한국근현대미술사학 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27, 2014, pp.65-86. 김주영 Kim, Jooyoung, 「일제시대의 在朝鮮 일본인 화가 연구: 朝鮮美術展覽會 입선작가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Japanese Painters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서울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M. 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문정희 Moon, Junghee, 「신문매체로 본 경성 화가들의 아틀리에 Ateliers of the Painters in Gyeongseong Shown in Newspaper Media」, 『미술사논단 Art History Forum』 43, 2016, pp.157-178. 이우치 가쓰에, Iuchi, Kasue(井內佳津惠), 김지영 옮김, Kim, Jiyoung trans., 「『경성일보』 미술기사 로 본 그룹활동 Art Activities in Seoul through the Keijonippo Newspaper」, 『한국근현대미술 사학 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27, 2014, pp.87-123. 최열 Choi, Yeol,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History of Korean Modern Art』, 서울: 열화당 Seoul: Youlhwadang, 1998. 홍선표 Hong, Sunpyo, 『한국근대미술사 Hangukgeundaemisulsa』, 서울: 시공아트 Seoul: Sigongart, 2009. 荒井経 Arai, Kei, 日比野民蓉 Hibino, Miyon, 「朝鮮美術展覽會における日本人畵家·安保道子 について Ambo Michiko: A Japanese Painter in the Chosen Bijutsu Tenrankai」, 『東京藝術大學美術學部紀要 Bulletin of the Faculty of Fine Arts,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52, 2014, pp.47-64. 大森潤也 Ohmori, Junya, 「荒木一門·讀畵會の花鳥畵―近代日本畵における官展系花鳥畵派 の成り立ちと芸術觀について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Araki Jippo·Dokugakai-History and Concept of Art of the Bird-and-Flower Painting Group in Government Exhibitions 」, 『日立市鄕土博物館 紀要 Bulletin of Hatachi City Museum』 11, 2017, pp.3-17. 辻(川瀬)千春 Tsuji(Kawase), Chiharu, 「植民地期朝鮮における創作版畵の展開(2):京城におけ る日本人の活動と「朝鮮創作版畵會」の顛末 The Development of Sosaku Hanga (Modern Wood Block Prints)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Part 2: Promotional Activities of Japanese Printmakers in Kyongsong until the Dissolution of ‘Chosen Sosaku Hanga Kai’」, 『名古屋大學博物館報告 Bulletin of Nagoya Univ. Museum』 31, 2016, pp.25-44.
키워드
근대 여성 화가, 재조선 일본인, 조선미술전람회, 근대 정물화, 도이 사이호, 마쓰사키 기미, 야마다 신이치
PDF 문서
48_07.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