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8 호
제목
1920년대 신문 연재소설 삽화와 모더니티: 인체 표현을 중심으로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정희정 鄭熙靜   지음
발행일자
2019.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
수록면/분량
135-156쪽 / 총 쪽
국문초록
본 논문은 1920년대 신문 연재소설 삽화의 제작 환경과 담론, 그리고 삽화에 나타난 모더니티를 인체 표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 식민지 정책의 변화로 대중매체인 복수의 신문이 창간되면서 인쇄미술이 양적으로 급격히 증가하며,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1920년대 말부터 삽화에 대한 담론이 형성된 것은 하나의 장르인식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제작 환경은 녹녹하지 않았으며, 참여한 작가도 삽화가가 미상인 경우를 제외하면 15명 내외였다. 매일매일 새로운 그림으로 소설 서사를 표현한 신문의 연재소설 삽화는 대중이 다른 미술의 장르보다 쉽게 즐겼다. 미술을 직접 감상할 기회가 많지 않은 시대에 삽화를 통해 서구 미술과 모더니티가 대중에게 유포되었다. 이전 인쇄미술을 통해 처음으로 서구 미술의 원근법과 명암법이 소개되고 수용되었다면, 1920년대 신문 연재소설 삽화를 통해서는 인체에 대한 표현에서 서구미술의 수용과 모더니티의 감각이 두드러졌다. 해부학적 기반의 인체 묘사로 누드, 해골, 하트문양, 그리고 절단된 신체는 전통시대의 미술과 단절된 도상으로 근대 새롭게 인식되기 시작한 육체가 시각화된 것이며, 1920년대 대량 생산된 인체에 대한 삽화는 대중에게 육체에 대한 모더니티를 감각하게 했다.
외국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nity of newspaper serial novel illustrations in the 1920s with the focus on human body express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of the 1920s, the change in colonial policies had led to the launch of multiple newspapers as mass media. This quantitative and rapid increase in printed arts had become a turning point. The formation of debates surrounding illustration, which had begun at the end of the 1920s, is actually interpreted as the formation of genre conception. However, the production environment was not optimal, and the production teams had commonly included approximately 15 writers excluding unknown illustrators. The illustrations in newspaper serial novel, which had expressed novel narratives with new illustrations on a daily basis, were easily enjoyed by the public compared to other types of art. Because there were very few opportunities to appreciate art in person during this period, Western art and modernity were spread to the public through these illustrations. While the perspectives and methods of Western art were first introduced and accepted through printed arts in the past, the human body expressions in the newspaper serial novel illustrations of the 1920s had prominently revealed a sense of Western art and modernity. Anatomical-based human body depictions including nude, skeleton, heart pattern, and amputated body are body visualizations that broke away from traditional art and were newly recognized as modern art, and the mass-produced illustrations of the human body in the 1920s had made the public sense the modernity of the body.
참고 문헌
『東亞日報 Donga Ilbo』 『每日申報 Maeil Sinbo』 『時代日報 Sidae Ilbo』 『朝鮮日報 Chosun Ilbo』 『中外日報 Joongwe Ilbo』 『別乾坤 Byedgeongon』 『三千里 Samcheolli』 강민성 Kang, Minsung, 「한국 근대 신문소설 삽화 연구: 1910~192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vel Illustrations in the Korean Modern Newspaper: from 1910s to 1920s」, 이화여 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2. 공성수 Kong, Soung-su, 「근대 소설의 형성과 삽화 연구 (A) Study on the Novel Formation and Illustrations」,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 Sogang University, 2014. 김영나 Kim, Youngna, 「한국 근대회화에서의 누드 The Nude in Modern Korean Painting」, 『서 양미술사학회논문집 Journal of theAssociation of Western Art History』 5, 1993, pp.31-52. 노클린, 린다 Nochlin, Linda, 정연심 옮김 Chung, Yeon-shim trans., 『절단된 신체와 모더니티 Body in Pieces』, 서울: 조형교육, Seoul: Chohyong Education Ltd, 2001. 이영아 Lee, Young-Ah, 『육체의 탄생 Birth of Body』, 서울: 민음사, Seoul: Minumsa, 2008. 이유림 Lee, You Rim, 「안석주(安碩柱) 신문소설 삽화 연구: 192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vel Illustrations of Ahn, Seok-ju; Focusing on the 1920s」, 이화여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M.A.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7. 정은진 Chung, Eunjin, 「해부학이 미술을 만날 때: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의 『인체의 구조에 대하여』 Anatomical Harmony of Art: Andereas Vesalius’ De Humani Corporis Fabrica」, 『미 술사학보 Korean Bulletin of Art History』 38, 2012, pp.184-211. 최병진 Choi, Byung Jin, 「근대 초 해부학의 발전과 시각적 사유: 미술과 의학의 학제 간 상호 연관성 A Development of Anatomy and Visual Thinking in the Early Modern Age」, 『미 술이론과 현장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20, 2015, pp.33-60. 홍선표 Hong, Sunpyo, 「경성의 시각문화 공람제도 및 유통과 관중의 탄생 The System of Visual Culture Spectatorship and The Birth of Spectator in Gyeongseong」, 『모던 경성의 시각문화 와 관중 Visual Culture and Spectators in Modern Gyeongseong』, 서울: 한국미술연구소CAS, Seoul: Center for Art Studies, Korea, 2018, pp.13-68.
키워드
삽화 illustration, 신문 newspaper, 연재소설 serial novel, 근대성 modernity, 육체 body, 해부학 anatomy
PDF 문서
48_06.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