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8 호
제목
‘진경’의 고(古)와 금(今): 근대기 사생과 진경 개념을 둘러싼 혼성과 변용 문제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황빛나 黃빛나   지음
발행일자
2019.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
수록면/분량
113-134쪽 / 총 22쪽
국문초록
진경(眞景)이라는 용어 및 개념은 해방 이후 일본의 잔재청산과 더불어 민족미술, 즉 한국성 회복의 역사적 전거로서 재발견하며, 그간 조선후기 진경산수화 및 겸재 정선과 관련되어 ‘사생’과 더불어 한국현대화단의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진경’과 ‘사생’은 근대 이전 동아시아에서 통용되어 온 전신론(傳神論)의 맥락에서 탈각되어 ‘사생’과 ‘사의’를 이분적으로 보고 ‘사의’는 모더니즘 미술의 ‘추상’과 연계시켜 이해하는 경향도 존재했다. 그러나 일본 메이지 초기의 탈아입구 정책 하에서 진행된 도화교육 등에서 강조된 사생이 눈앞의 대상을 옮겨 묘사하는 형상적 묘사에 치중하였다면, 메이지기 말에서 다이쇼기를 거쳐 일어난 동양 전통의 재발견 붐을 통해 과거 전 근대기 기술된 화론을 서구 조형이론과 접목시켜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는 경향이 대두되었다. 이에 아마추어(어린이)를 위한 초보적 단계의 객관적 사생에서 전문가를 위한 주관적(사의) 사생에까지 ‘사생’에 대한 계층적, 내용적 분화가 이론가와 화단의 주요 일본화가 및 남화가들을 통해 발표되며 동아시아에 확산되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전근대에서 근대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진경’과 ‘사생’ 이 두 용어와 개념의 동아시아에서의 의미적 혼용과 변용과정을 근대기의 주요 문헌과 1차 자료를 통해 추적해 보았다. 이를 통해 ‘진경’을 ‘사실성’ 및 ‘재현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하는 것이 일본의 ‘명소도’적 진경 개념과 서구 풍경화의 혼습 과정에서 파생된 용어적 개념임에 주목하고, 향후 현대 한국화단의 ‘진경’ 및 ‘추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외국어초록
The term and concept of ‘Jingyeong(眞景)’, in addition to Japan’s liquidation of remnants after liberation, rediscovering it as a historical precursor to the recovery of Korean character,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of the Korean Modernization, along with ‘Sasaeng(寫生)’ in relation to Jingyeong and Jeong Seon(鄭敾)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period. In this process, however, Sasaeng were also removed from the context of the “Jeonshin theory(傳神論)” used in East Asia before modern times, and there was a tendency to view ‘Sayi(寫意)’ and ‘Sasaeng’ in a dichotomous way and to understand Sayi in conjunction with the “Abstract Art” on modern times. However, if the emphasis was placed on graphic depictions of the immediate object, such as painting education conducted under the early Meiji policy, it became more likely to incorporate the old modern narrative into the Western formation theory through the rediscovery boom of the Eastern tradition that took place through the Taisho(大正) at the end of the Meiji period. Thus, the hierarchical and informative differentiation of Sasaeng from the rudimentary level of objective Sasaeng for amateurs(children) to the subjective Sasaeng for professionals was published through the leading Japanese painters and the theorists and spread to East Asia. In this paper, the two terms, ‘Jingyeong’ and ‘Sasaeng,’ have been traced through major literature and primary materials of the modern era to this day. Through this, the focus of understanding “truth” with a focus on “reality” and “reality” is a term derived from Japan’s “attraction painting(名所圖)” concept of evolution and the hybridization of Western landscape painting, and it aims to help expand the scope of understanding of modern Korean painting’s “truth” and “abstract art.”
참고 문헌
『개벽 Gaebyeok』 『동아일보 Dong-a Ilbo』 『매일신보 Maeil Sinbo』 『문장 Munjang』 『한국문집총간 Korean Literary Collections in Classical Chinese』 김성희 Kim, Sunghee, 「자하 신위의 문인화론 연구 A Study on Jaha Shin Wi’s Theory of Literary Painting」,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 Seoul: Sungshin University, 2007. 김용준 Kim, Yongjun, 『근원 김용준 전집 Collection of Keunwon Kim, Yongjun’s Essay』, 파주: 열 화당 Paju: Youlhwadang, 2001. 박소현 Bark, Sohyun, 「시키(子規)의 사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hasei of Masaoka Siki」, 『일 본어문학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3, 2011, pp.285-306. 홍선표 Hong, Sunpyo, 『조선시대 회화사론 Art Theory in Joseon Dynasty』, 서울: 문예출판사 Seoul: Moonnye Publishing Co.,Ltd., 1999. 金原省吾 Kinbara, Seigo, 『東洋畵 Oriental Painting』, 東京: 春秋社 Tokyo: Shunjusha, 1929. 岸田劉生 Kishida, Ryusei, 『圖畫敎育論 A Theory of Art Education』, 東京: 改造社 Tokyo: Kaizosha, 1925. 小室翠雲 Komuro, Suiun, 『日本畵の描き方 Methods of Japanese Paintings』, 東京: 誠文堂 Tokyo: Seibundo, 1925. 田中正史 Tanaka, Seisi, 「風景の近代 Modernization of Landscape」, 『風景の近代 Modernization of Landscape』, 日光: 小杉放菴記念日光美術館 Nikko: Kosugi Hoan Museum of Art, Nikko, 1998.
키워드
긴바라 세이고, 고무로 스이운, 근대, 도화교육, 사생(寫生), 사실(寫實), 사의, 정선(謙齋), 진경(眞景), 풍경, 하시모토 간세쓰
PDF 문서
48_05.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