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7 호
제목
조선 전기 경공장의 기술 통제와 분업
원어 제목
Governmental Craftsmen’s Skill Control and Division of Labor in Early Joseon Period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최공호 崔公鎬   지음
발행일자
2018.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
수록면/분량
115-138쪽 / 총 24쪽
국문초록
조선왕조는 건국 초기부터 장인의 기술과 인원을 법전에 명시하는 등 경공장 제도를 대폭 확장하고 시행에 적극적이었다. 관장(官匠)은 고대부터 국가의 경영에 꼭 필요하였다. 장인의 기술은 부국강병은 물론 왕권을 보호하는 데에도 필수적이었다. 전제왕권의 취약성을 시각 이미지를 통해 보완하고 지위를 공고히 하는데 공예품이 탁월한 효과를 발휘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정황은 왕실의 기물이 ‘문채(文彩)와 명기(名器)를 바로 세우는데’ 필요하다는 기록을 통해서도 입증된다. 왕실 공예품의 제작기준은 예론(禮論)에 기초하였으며, 장인 기술의 통제는 경공장 제도를 이끄는 추동력이었다. 국가의 공예활동에 동원된 경공장의 기술은 여기에 수렴하여 분화하고 통제되었다. 경공장의 제작활동은 견양(見樣)과 감조관을 통해 엄격한 기준과 기술 통제를 시행하였다. 제작품의 견본이 되는 견양의 존재는, 제작 현장을 감독하던 감조관과 함께 형식과 품질을 유지하는 중요한 장치였다. 경공장의 운영에서 두드러진 특징의 하나는 분업이었다. 분업은 기술의 숙련도와 품질을 높이는데 중요했다. 20여 가지로 분화된 사옹원의 사기장 기술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또, 화살이나 궁궐 건축과 같이 생산의 효율이 절실한 분야에서는 각기 다른 기술을 가진 장인의 협업이 적극적으로 시행되었다. 화살은 중요한 소모품이어서 대량생산이 필요하였고, 궁궐의 건축은 여러 장인들을 망라하여 단기간에 완결지어야 했기 때문이다.
외국어초록
Specifying craftsman’s skill and the number of craftsmen in legislation from the state’s early days, Joseon Dynasty substantially expanded and actively implemented Governmental Craftsmen system. Governmental craftsmen were essential for management of state from ancient times. Craftsmen’s skill were necessary not only for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but for protection of royal authority. It is because craftwork was very effective to supplement vulnerable authoritarian royal power and to consolidate their position as well. These aspects are also demonstrated with records that royal property was necessary to “correct damascene and exquisite articles,” Criteria for royal craftwork were based on Theory of Rituals and control over craftsmen’s skills was the drive to run Governmental Craftsmen system. Skills of Governmental Craftsmen mobilized for national crafts activity were gathered at the system, divided and then controlled. Governmental Craftsmen’s activities were strictly controlled regarding standard and skills through models and project supervisors. Existence of models, the sample of article to be produced, was an important tool to maintain form and quality along with project supervisor, the inspector on production site. One of prominent characteristics in Governmental Craftsmen system is labor of division, which was critical to enhance proficiency of skills and quality of craftwork. It is well demonstrated in the case of ceramic master’s skills at Saongwon which was divided into more than twenty categories. In the fields that strongly require production efficiency such as arrow manufacture or construction of royal palace, craftsmen with different skills actively collaborated. It is because arrows had to be massproduced as they were important consumables and construction of royal palace had to be comple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a number of craftsmen engaged.
참고 문헌
『東國輿地勝覽 Donggukyeojiseungram』, 卷75 地理志 Jiriji, 珍州條 Jinjujo 『周禮 Juryae』 「考工記 Gogonggi」 『中庸 Jungyong』 「凡爲天下國家有九經 Beomwicheonhayuguqyeong」 『朝鮮王朝實錄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禮記 Hyaegi』 권17, 月令 Wolryoung 강만길 Kang, Man-Gil, 「분원연구(分院硏究)A Study on Bunwon」, 『亞細亞硏究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8:4, 1965. 권영국 Kwon, Young-Guk, 「조선 초기 수공업 연구 A Study on the Handicraft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한국역사연구회보 Korean History Society Review』 33, 1998. 김동오 Kim, Dong-Oh, 「고대 중국의 공장(工匠)과 기술 통제: 분업 생산과 공관(工官) 조직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rtisan and Technology in Ancient China」, 『동양사학연구 Journal of Asian Historycal Studies』117, 2011. 김일환 Kim, Il-Hwan, 「고려초기 유교정교이념(儒敎政敎理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tical and Educational Ideology of the Confucianism in the Early Kory? Era」,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Dis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1993. 김태영 Kim, Tae-Young, 「조선초기 정치사상의 이념적 기초 Idealogical Foundation of Political Thought in Early Joseon Dynasty」, 『韓國思想大系 Hankooksasangdaegye』Ⅲ,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소 Seoul: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ungkyunkwan University, 1979. 박남수 Park, Nam-soo, 『신라수공업사 A Study on the History of Handicraft during the Silla Dynasty』, 서울: 신서원 Seoul: Sinseowon, 2009. 장경희 Jang, Kyung-Hee, 『의궤 속 조선의 장인 A Study on Artisans Through Euigue of Joseon Dynasty』2, 의왕: 솔과학 Uiwang: Solgwahak, 2013. 정성식 Jeong, Seong Sik, 「경국대전(經國大典)의 성립배경과 체제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System of Gyeonggukdaejeon」, 『동양문화연구 Youngsan Journal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13, 2013. 최공호 Choi, Gongho, 「조선초기의 공예정책과 그 이념 The Policy on Craft Art and Its Concept in the Early Chos?n Period」, 『미술사학연구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194·195, 1992. 9. 최공호 Choi, Gongho, 「『조선왕조실록』의 궁인(弓人) 기록 Record of Bowyers i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 Tradition and Interpretation of Visual Culture』, 서울: 예경 Seoul: Yekyung, 2007.
키워드
경공장 governmental craftsmen, 기술 통제 skill control, 견양 model, 감조관 project supervisor, 분업 division of labor, 협업 collaboration
PDF 문서
47_05(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