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7 호
제목
모더니즘 ‘서체추상’과 이응노
원어 제목
Calligraphic Abstraction of Modernism and Lee, Ungno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문정희 文貞姬   지음
발행일자
2018.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231-254쪽 / 총 24쪽
국문초록
2차 세계 대전 전후 아시아 미술계에서 모더니즘의 뚜렷한 족적은 추상 회화의 수용과 발전에서 나타난다. 동아시아에서 일본은 1950년대 후반부터 유럽의 앵포르멜 사조의 유행 전후로 추상 회화를 전개시켰고, 이는 바로 한국 화단에서 한국적 모더니즘 담론이 등장하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의 추상 회화 조류와 맞닿아 있다. 이 시기 이응노(1904~1989)는 세계 미술의 국제적 조류와 함께 새로운 세계를 향해 또 다른 실험 정신을 보여주는 예술로 향하고 있었다. 1960년대 이응노의 작품은 유럽의 앵포르멜과 미국의 추상표현주의 회화의 액션 페인팅보다는 오히려 ‘서체(calligraphic)’라는 동양적 근원에서 새롭게 시작되었다고 본다. 이응노는 1950년대 자신의 회화를 ‘사의(寫意)’라고 불렀던 만큼 전통 문인화의 서화동원(書畵同源)을 바탕으로 창신(創新)하고자 했고, 이러한 창작 태도로부터 훗날 또 다른 반(半)추상에서 추상으로 향할 수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이후 1960년대 들어와 본격적으로 파리 화단에 선보인 그의 콜라주 추상은 훗날 ‘문자 추상’을 수립하기 전 가장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서체추상의 단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서체추상’은 미국과 유럽에서 ‘calligraphic abstraction’으로 불러온 용어를 그대로 번역 사용한 것으로, 특히 2016년 이응노미술관에서 개최한 《이응노와 유럽의 서체추상(Lee Ungno & Calligraphic Abstraction in Europe)》전에서 일컫는 동일한 개념을 적용한 것이다. 프랑스의 평론가 미셀 쇠포르(Michel Seuphor, 1901~1999)가 1957년에 발표한 『추상미술사전 Dictionnaire de la peinture abstraite』에서 ‘서체적 예술’은 일본 전위서를 일컬어 사용한 것이다(김상호, 「2016 이응노미술관 국제전 이응노와 유럽의 서체추상: 앙리 미쇼, 이응노, 조르주 노엘」, 『이응노와 유럽의 서체추상』(이응노미술관, 2016), p.10 참조). ‘서체추상’은 지금까지 전위서 자체뿐만 아닌 동서양의 서체성을 갖는 추상화 전반을 일컬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앵포르멜과 추상 회화와 관련된 ‘calligraphic’을 서법 혹은 서체로 부르는 것은 중국과 한국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차이를 지니는데, 중국에서는 ‘서법추상’, 한국에서는 ‘서체적 추상’(김영나, 「2차대전 이후 20년의 동서미술 교류와 서체적(書體的) 추상」, 『20세기의 한국미술』(예경, 1998), p.215.)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의 창작 원리라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응노의 서체추상을 중심으로 파리 화단의 아시아 작가들의 서체추상을 비교하고, 아울러 한국과 동시기에 앵포르멜 조류에서 새롭게 나타난 수묵화를 통해 서체추상의 서로 다른 내용과 입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외국어초록
n the post-WWII world of art in Asia, the legacy of Modernism can be observed in the development of abstract painting, with the abstract art movement reaching its heyday in the 1960s after Art Informel from Europe began to be more widely accepted in the late 1950s. During this period, Lee, Ungno made powerful achievements with experimental artworks presented to the world along with the global art trends. His artworks produced in the 1960s best reflect the art of “calligraph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uropean Informel and the American Abstract Expressionism. Lee, Ungno who described the 1950s paintings as “Xieyi (寫意),” attempted to deliver creative works based on a combination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of the traditional literary painting style, and the collage abstraction he began to present to the art circles in Paris in full swing in the 1960s can be described as the most experimental and avant-garde works of his prior to the Letter Abstract. His collages, which have been created using the calligraphy-based structure or engraving method, are regarded as the key to calligraphic abstraction. Accordingly, this paper will compare the calligraphic abstraction presented by Asian artists among Paris painters, centering on that of Lee, Ungno and examine the different content and views of calligraphic abstractions through the ink-wash paintings that newly emerged from the Informel movement simultaneously as in Korea.
참고 문헌
김희영 Kim, Heeyoung, 「한국 추상회화 형성기의 미술비평에 대한 비판적 성찰 A Critical Study on Korean Art Criticism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Korean Abstract Painting」, 『미술사논단 Art History Forum』37, 2013. 에브자르, 줄리에트 Evezard, Juliette, 「동양의 유혹: 미셀 타피에가 극동아시아를 생각할 때 The Temptation of the East: When Michel Tapie thinks about the far East」, 『이응노와 유럽의 서체추상 Lee Ungno & Calligraphic Abstraction in Europe』, 대전: 이응노미술관 Daejeon: Leeungno Museum, 2016. 왕가치 Wang, Chia Chi Jason 「20세기 중국과 대만 예술의 현대성 정황 The Condition of Modernity in 20th Century China and Taiwan Art」, 『미술사논단 Art History Forum』44, 2017. 『이응노와 유럽의 서체추상 Lee Ungno & Calligraphic Abstraction in Europe』, 대전: 이응노미술관 Daejeon: Leeungno Museum, 2016. 장보신 Chiang, Poshin, 「물체·신체·형체: 1970년대 대만 현대미술의 시각 변형 Object, Body and Figure: Visual Transformation of Taiwanese Modern Art in the 1970s」, 『미술사논단 Art History Forum』40, 2015. 홍선표 Hong, Sunpyo, 「한국화의 현대화 담론과 이응노 A Discourse on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Style Korean Painting” and Lee, Ungno(1904-1989)」, 『미술사논단 Art History Forum』44, 2017. 蕭瓊瑞 Xiao, Qiongrui 『東方與五月: Fifth Moon Group and Dong Fang Group』, 臺北: 東大圖書 Taipei: Dongdatushu, 1991. 『生誕100年 ジャクソン·ポロック展 Jackson Pollock A Centennial Retrospective』, 東京: 讀賣新聞 Tokyo: The Yomiuri Shimbun, 2011. 關口硏二 Sekikuchi, Kenji, 「近代の書法の成果と臨書 Modern Calligraphy and Writing from a Model」, 『美術フォ―ラム21 Bijutsu Forum 21』 31, 2015. Sullvan, Micheal, Art and Artists of Twentieth-Century China, Berkel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Lassaigne, Jacques, Abstraction Creation 1931-1936, Paris: Muse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1978. Michaux, Henri, Zao Wou-ki Encres, Paris: Cercle d’Art,1980. Tapie, Michel, Alfonso Ossorio, Jackson Pollock Paris: Paul Facchetti,1952.
키워드
앵포르멜 Informel, 추상표현주의 Abstrct Expressionism, 이응노 Lee Ungno, 잭슨 폴록 Jackson Pollock, 폴 파케티 화랑 Galerie Paul Facchetti, 자오우지 Zao Wou-ki, 류궈숭 Liu Guosong
PDF 문서
47_10.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