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7 호
제목
《조선미술전람회》 참고품 재평가를 위한 모색
원어 제목
The Study on Reference Work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박지혜 朴智慧   지음
발행일자
2018.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209-229쪽 / 총 21쪽
국문초록
본 연구는 그동안 조선미전 연구에서 소외되어 왔던 참고품의 작품들과 이들의 선정과정을 살펴보고 그 성격을 다시 규명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조선미전의 참고품은 참고품은 전람회 초기의 개최 목적 및 심사방향 등에 대한 중요 검토 자료로서의 역할을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일본의 참고작품과 상대적으로 빈약한 조선 회화를 같은 공간에서 전시한 것은 ‘제국 일본’의 우월성을 미적인 측면에서 시각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장치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과연 참고품의 선정과 진열이 식민지 지배를 더욱 공고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는 관점이 참고품에 대한 적절한 평가인지에 대해서는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단지 1,2회에만 진행되었지만 일본의 문부성에서 선별된 작품이 보내진 만큼 총독부와 일본 정부가 구상한 ‘동양화’, ‘일본회화(미술)’의 방향성을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장치였을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참고품에 진열 현황에 대한 정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조선미술전람회 도록』과 당시 다른 기록들 간에 불일치하는 부분들이 발견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참고품에 대한 일차적인 정리를 시도했다. 당시 전람회 이후 출간된 도록과 관보, 신문기사를 비롯한 관련 정보들을 종합해 그 목록을 먼저 구성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참고품의 선별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 문부성에서 조선에 보내온 참고품은 당시 프랑스 파리의 살롱 전시를 위한 작가들의 작품들이었다. 이는 일본의 가장 최신의 미술이자 최고의 미술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제국주의적인 시각을 넘어서 미술진흥의 측면에서 참고품을 바라보며 접근할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외국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reference works which were alienated during the research and selection process of the Joseon art exhibition(朝鮮美術展覽會). The reference works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serve as important review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at the beginning of the exhibition and the review direction. In previous researches, it is understood that displaying Japanese reference works and comparatively poor Joseon paintings in the same space is an instrument for visually revealing the superiority of ‘Imperialist Japan’ in aesthetic terms. However, it should be reconsidered whether the view that the selection and display of reference works is intended to further strengthen the colonial rule is an appropriate evaluation of reference works. So fa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reference work and selection process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There are discrepancies between the records of Joseon Art Exhibition Catalog and other materials at the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ist of reference works was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synthesized first. First, I made a list of related information such as magazines, newspaper articles, catalogs, and institutional newsletters published before and after the exhibition. Through this process I was able to identify the screening process of reference works. The reference works sent to Jose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Science and Culture) of Japan were the works of the authors selected to send them to the Salon de la Socieete Nationale des Beaux-Art in Paris, France. This means that reference works are the latest art in Japan and the best art.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reference works need to be interpreted in terms of promotion of art beyond imperialism perspective.
참고 문헌
『京城日報 Gyeongseong Ilbo, Keijo Nippo』 『每日申報 Maeil Shinbo』 『朝鮮美術展覽會 圖錄 Joseon Art Exhibition Catalog』 1~4 최열 Choi Yeol,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한국미술사 사전 1800-1845 The History of Korea Modern Art』, 파주: 열화당 Paju: Youlhwadang, 2015. 한국미술연구소 편 Center for Art Studies, 『朝鮮美術展覽會 記事資料集 The Choshon Art Exhibition: Sources and Articles』, 서울: 시공사 Seoul: Sigonsa, 1999. 강민기 Kang, Minki, 「근대 전환기 한국 화단의 일본화 유입과 수용 Korean Introduction of Japanese Painting(Nihonga, 日本畵) in 1870’s to 1920’s」, 서울: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h.D. Thesis, Seoul: Hongik University, 2005. 林洋子 Hayashi, Yoko, 「‘現代日本美術’の演出: 1920年代前半のパリにおける試み Presentation of Japanese Contemporary Art」, 『東京都現代美術館紀要 Bulletin of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kyo』2, 東京: 東京都現代美術館 Tokyo: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kyo, 1996, pp.18-33.
키워드
조선미술전람회 Joseon Art Exhibition, 참고품 Reference Work, 조선총독부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1922년 국민미술협회전 Salon de la Societe Nationale des Beaux-Arts, 1922, 신문기사 newspaper articles
PDF 문서
47_09.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