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7 호
제목
18, 19세기의 한일 회화교류와 대마도 및 동래 왜관 관련 신 자료의 미술사적 분석: 조선 후기 대일교역용 회화에 대한 기존 논의의 보완을 위한 소론
원어 제목
18th and 19th Century Exchange of Painting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Art Historic Analysis of New Materials Related to the Tsushima Domain and Dong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박성희 朴晟希   지음
발행일자
2018.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185-208쪽 / 총 24쪽
국문초록
‘대일교역용 회화’란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일본 국내에서 발생한 조선화 수요에 대응해 조선 국내에서 제작된 작품군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최근 대마도 및 동래 왜관 관련의 신 자료가 보고돼, 18·19세기의 한일 회화교류의 다양한 형태와 방식들이 보다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마도(쓰시마) 종가문서(宗家文書[소케몬조]) 수록의 『오토리요세모노(御取寄物)』를 비롯한 신 자료 3점과 신출(新出) 작품 2점을 소개·분석함으로서, 조선 후기 대일교역용 회화에 대한 기존 논의를 보완하고자 한다. 기록류의 신 자료 3건을 통해, 통신사를 매개로 한 직접적인 한일 회화교류가 중단·단절된 새로운 국면 속에서, 대마도와 동래 왜관과 관계된 인물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활약했음을 알 수 있다. 또 새롭게 알려진 2점의 작품들을 통해 동래 왜관을 배경으로 19세기 중반 이후까지 중앙과 동래 화단의 화가들이 일본인의 조선화 요청에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해 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문헌 기록을 뒷받침하는 실제의 예로서 주목된다. 아직 동래 왜관 수출화를 포함한 조선 후기 대일교역용 회화의 제작과 유통의 실상(實相)은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이 글에서 논한 여러 사항들은 18세기 후반 이후의 한일 회화교류를 한 층 깊이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 글에서 소개·분석한 신 자료와 신출 작품은 18·19세기의 한일 회화교류가 기존에 논의된 것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 걸쳐 다각적으로 전개됐음을 보여주는 근거로서 큰 의미를 가진다.
외국어초록
The paintings for trade with Japan (對日交易用 繪畵)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a group of works produced in Korea from the late 18th to early 19th centuries in response to increasing demand for Joseon paintings in Japan. New materials related to the Tsushima domain and Dongnae Waegwan have recently been discovered, illuminating the various artistic exchange processes that occurred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ement existing insight into the paintings for trade with Japan in the late Joseon period by introducing and analyzing three new records that including Otoriyosemono (『御取寄物』) contained in Documents of the Tsushima So family (宗家文書), and two newly introduced art works. Three new records show us that the figures involved in Tsushima domain and Dongnae Waegwan played more active roles in a new phase that the direct exchange of paintings between Korea and Japan by Tongsinsa was interrupted or severed. Additionally, two newly introduced works confirm that painters of Seoul and Dongnae had responded in various ways to Japanese requests for Joseon paintings through Dongnae Waegwan until following the mid-19th century. These are noted as a practical example of supporting record materials. The actu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paintings for Trade with Japan in the late Joseon period, including the export paintings of Dongnae Waegwan, has yet to be thoroughly clarified. However, the new records and works that are introduc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evidence for understanding the exchange of painting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s being highly dive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diversity of these paintings may be far higher than previously argued.
참고 문헌
金奭準 Kim Seokjun, 『紅藥樓詩初集 Hongyakrusichojip』, 1865(刊). 朴俊漢 Park Junhan, 「(小田幾五郞宛) 朴俊漢書簡 Park Junhan Seogan(Shokan)」, 1797. 4. 11. 卞璞 Beon Bak, <柳下馬圖 Yuhama Do>(1779) 箱書(箱裏) Hakogaki, 1792. 1. 趙熙龍 Jo Huiryong, 『壺山外史(壺山外記) Hosanoesa』, 1844(序). 大典 Daiten, 「(木村??堂宛) 大典書簡 Daiten Shokan」, 1781. 7. 28. 小田幾五郞 Oda Ikugoro, 『象胥紀聞(象胥記聞) Shoushokibun』, 1794(序). 『(合卷) 御取寄物(御大名方 以酊庵御賴之品 附り鷹御取寄)·持渡取寄物御免之類 Otoriyosemono』, 1767~1800. 『御取寄物(御大名樣方以酊庵御賴之品附鷹御取寄) 持渡取寄物御免之類 Otoriyosemono』, 1801~1818. 『御取寄物(御大名樣方以酊庵御賴之品附鷹御取寄) 持渡取寄物御免之類 十七 Otoriyosemono』, 1819~1824. 『(국외소재 한국문화재 조사보고서33) 영국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Korean Collections at the British Museum』,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Daeje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6. 『초량왜관: 교린(交隣)의 시선으로 허(許)하다 Choryang Waegwan: Gyorin ui Siseon euro Heohada』, 부산: 부산박물관 Busan: Busan Museum, 2017. 『木村??堂: なにわ知の巨人 特別展?後200年記念 Kimura Kenkadou: Naniwa Chi no Kyojin』도록 (大阪: 大阪歷史博物館 Osaka: Osaka Museum of History, 京都: 思文閣出版 Kyoto: Shibunkaku Publishing), 2003. 『(長崎縣文化財調査報告書212) 對馬宗家文庫史料朝鮮譯官發給ハングル書簡調査報告書 Tsushima Souke Bunko Shiryou Chousen Yakukan Hakkyuu Hanguru Shokan Chousa Houkokusho』, 長崎: 長崎縣敎育委員會 Nagasaki: Nagasakiken Kyouiku Iinkai, 2015.
키워드
대일교역용 회화 paintings for trade with Japan, 동래 왜관 수출화 export paintings of Dongnae Waegwan, 대마도 Tsushima Domain, 대마도 종가문서 documents of the Tsushima So Family, 호도 painting of tiger, 응도 painting of falcon
PDF 문서
47_08.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