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7 호
제목
조선시대의 왕실 주기, 혜호배: 기록과 유물을 통한 실체와 조형의 복원
원어 제목
Identifying Hyehobae from Records and Artifacts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윤효정 尹傚靖   지음
발행일자
2018.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139-160쪽 / 총 22쪽
국문초록
혜호배는 조선시대의 문헌기록을 통해 그 존재가 알려져 있지만 실물자료의 존재 여부나 조형적 실체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과 중국의 기록 및 현전유물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통해 조선시대 왕실의 대표적인 주기의 하나였던 혜호배의 실체에 대한 실증적인 규명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술을 마시면 죽는 혜호라는 벌레의 형상으로 만든 술잔으로 승정원과 독서당에 하사되었던 사실이 알려진 혜호배는 은이나 옥의 재질로 제작된 왕실 주기로 가례(嘉禮)와 결부된 연향에 사용된 의례기로 도마뱀붙이인 갈호(蝎虎)를 형상화한 갈호배와 동일한 기명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혜호배와 갈호배의 조형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한 『세종실록』「오례의」와『국조오례의』준작도설(尊爵圖說)의??쌍이갈호청옥잔(雙耳蝎虎靑玉盞)??을 통해 중국에서 이룡(?龍)을 입체적으로 장식한 송대의 금은제 및 옥제 리배(?杯)를 계승한 명대의 옥제 리이배(?耳杯)가 그 조형적 근거가 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 ??청동서수부잔(靑銅瑞獸付盞)??은 혜호배의 실물자료로 명의 쌍리이배(雙?耳杯) 형식에 근거한??쌍이갈호청옥잔??과는 구별되는 단리이배(單?耳杯) 형식도 수용되어 제작되었음을 보여주는 예로서 주목된다. 본 연구는 기록으로만 알려진 조선시대 주기인 혜호배, 갈호배, 그리고 쌍이갈호청옥잔의 관계와 그 조형적 실체 및 실물자료로서 청동서수부잔의 존재를 새롭게 밝혀낸 것에 의의가 있다. 이는 조선시대 왕실 주기 및 왕실 의례기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확장된 이해와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외국어초록
Hyehobae is a type of liquor vessel that is recorded in Joseon-dynasty (1392-1910) historical records, but there are no extant examples to verify their form and materiality. Hyehoba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alcohol vessels of the Joseon royal court. Through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Chinese and Joseon records, as well as surviving artifacts,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hyehobae. Hyehobae is described as a vessel that features a Hyeho, an insect-like creature that dies after drinking alcohol. Hyehobae were bestowed to the Seungjeongwon(承政院, Royal Secretariat) and Dokseodang(讀書堂, Reading Hall) and were made of silver or jade to be used in royal banquet of auspicious ceremonies(嘉禮). Hyehobae is an alternative name for galhobae(蝎虎杯), which is a ritual alcohol vessel with an image of a Gekko japonicus called Galho(蝎虎). Hyehobae and galhobae correspond with Ssangyigalho cheongokjan(雙耳蝎虎靑玉盞, Green jade cup with Gekko handles), which is recorded in Junjakdoseol(尊爵圖說, Illustration of Royal Drinking Vessels) in the ‘Five Rites’(五禮儀) of the Sejong sillok(世宗實錄, Annals of King Sejong) and Gukjo oryeeui(國朝五禮儀, Five Rites of the State). From the illustration, Ssangyigalho cheongokjan was based on Ming-dynasty (1368-1644) jade cups with chi-dragon(?龍) double handles. The Ming cups developed from Song-dynasty (960-1279) metal and jade cups decorated with chi dragons. Furthermore a bronze cup with auspicious animal handle(靑銅瑞獸付盞), a surviving Joseon-dynasty hyehobae, is comparable to Ming single chi-dragon handle cups. A bronze cup with auspicious animal handle also shows that vessels with single Gekko handles were produce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not only because it links hyehobae and galhobae with Ssangyigalho cheongokjan but also for unearthing the formal correspondences with a bronze cup with Gekko handle. These finding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the scholarship on liquor and ritual vessels of the Joseon royal court.
참고 문헌
『國朝五禮儀 Gukjo oryeeui』 『朝鮮王朝實錄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閔仁伯 Min, Inbaek, 『苔泉集 Taecheonjip』 沈守慶 Shim, Sugyeong, 『遣閑雜錄 Gyeonhanjaprok』 柳希春 Lyu, Huichun, 『眉巖日記 Miamilgi』 李肯翊 Lee, Geungik, 『練藜室記述 Yeonryeosilgisul』 李?光 Lee, Suguang, 『芝峯類說 Jibongyuseol』 趙纘韓 Cho, Chanhan, 『玄洲集 Hyunjujip』 姜紹書 Jiang, Shaoshu, 『韻石齋筆談 Yunshizhaibitan』 成都文物考古硏究所 Chengdu Archaeological Research Institute of Chengdu, 彭州市博物 館 Pengzhou Municipal Museum, 『四川彭州宋代金?器?藏 Gold and Silver Wares from the Cellar of the Song Dynasty in Sichuan Province』, 北京: 科學出版社 Beijing: Kexuechubanshe, 2003. 中國玉器全集編輯委員會 編 Editorial committee of the compilation of jades of Chinese jades, 『中國玉器全集 Complete Works of Chinese Jade』 5 隋唐~明 Sui·Tang~Ming, 石家莊: 河 北美術出版社 Shijiazhuang: Hebeimeishuchubanshe, 1993.
키워드
혜호배 Hyehobae, 쌍이갈호청옥잔 sangyigalhocheongokjan(Green jade cup with Gekko handles), 이룡 chi-dragon, 청동서수부잔 bronze cup with auspicious animal handle, 리이배 chi-dragon handled cup, 왕실 주기 royal liquor vessel
PDF 문서
47_06.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