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6 호
제목
근대 일본에 있어 ‘문인화’ 개념의 생성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리자오쉐 李趙雪   지음
발행일자
2018.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79-105쪽 / 총 27쪽
국문초록
본고는 현대 중국회화의 기초가 되는 “문인화”의 개념을 밝히려 한다. 오늘날 문인화는 고대 중국에서 이어지는 개념이 아닌 근대기 일본에서 재정립된 새로운 개념이다. 중국에서 “문인지화(文人之畵)”라는 표현이 등장한 것은 명대부터였으나 “문인화”라는 용어는 거의 쓰이지 않았으며 주로 “남종화(南宗畵)”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반면 근대 일본에서는 “남종화”와 명·청대의 주류 회화를 배운 화가가 그린 “문인의 회화”를 단순화 시킨 “문인화”가 당시의 상황과 결합되어 사용되었다. 이것은 1910년대에 일어난 전환점이었다. 본고에서 필자는 “남종화”에 대한 루오 쩐위(羅振玉), 오무라 세이가이(大村西崖), 타키 세이치(瀧精一)의 서로 다른 세 가지 관점을 검토하고, 이후로 오무라와 타키가 제안한 근대일본문인이론을 살펴보려한다. 이를 통해 중국회화의 핵심이자 근대 일본 미술사가들에 의해 다시 정의된 문인화의 개념을 밝히고자한다.
외국어초록
This paper is to clarify that the concept of “Bunjinga(literary painting)”,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Chinese paintings today, is not a concept from ancient China, but a new concept that has been rearranged in Japan since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In China, the expression “A painting of the literati(文人之畵)” has already appeared since the Ming Dynasty, but the term “Bunjinga(文人畵)” is hardly seen in the genre term and the term “Nanshuga(南宗畵)” was the mainstream. On the other hand, in modern Japan, the term “Bunjinga” which simplified “Nanshuga” and “A painting of the literati” by the painters who learned the mainstream painting of Ming Qing,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modern situation. It was the turning point in the 1910s.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three aspects of “Nanshuga” perspective brought by Luo Zhenyu(羅振玉), Omura Seigai(大村西崖), Taki Seiichi(瀧精一), and the modern Japanese literary theory suggested by Omura and Taki since then. I would want to clarify that the concept of literary painting, which is the core of Chinese paintings, has been redefined by modern Japanese art historians since modern times(近世).
참고 문헌
康有爲, 『万木草堂藏畵目』, 上海: 長興書局, 1918. 劉曉路, 「大村西崖和陣師曾-近代文人畵復興的苦鬪者」, 『藝苑』, 南京: 南京藝術學院, 1996. 劉曉路, 「日本的中國美術硏究和大村西崖」, 『美術觀察』, 北京: 中國藝術硏究院, 2001. 羅振玉, 『羅振玉與王國維往來書信』, 北京: 東方出版社, 2000. 啓功, 「山水畵南北宗問題的批判」, 『美術』, 北京: 中國美術家協會, 1954. 石守謙, 「1-2中國文人畵究竟是什??」, 『從風格到畵意: 反思中國美術史』, 臺北: 石頭出版, 2010. 瀧精一, 「中國文人畵槪念」, 『文化建設月刊』3卷 9號, 傅抱石 譯, 上海: 文化建設月刊社, 1937. 童書業, 「中國山水畵南北分宗說辨僞」, 『考古』, 北京: 科?出版社, 1936. 萬靑力, 「文人畵與文人畵傳統-對二十世紀中國畵史硏究中一個槪念的界定」, 『文藝硏究』, 北京: 中國藝術硏究院, 1996. 王伯敏, 『畵學集成』2卷, 任道彬 編, 河北: 河北美術出版社, 2002. 徐悲鴻, 「中國畵改良之方法」, 『繪學雜誌』第1號, 北京: 北京大學繪學雜誌社, 1920. Fenollosa, Ernest Francisco, 『東亞美術史綱』第4卷, 有賀長雄 譯註, 大阪: 創元社, 1938. 原田悟朗, 「展覽會のご??」, 『北宋以前南畵展覽會目錄』, 東京: 博文堂, 1928. 伊藤傳一郞, 「南宗畵と北宗畵」, 『美』19-1, 東京: 藝艸堂, 1927. 伊勢專一郞, 「文人畵-南畵より文人畵への推移」, 『東洋美術』3, 奈良: 飛鳥園, 1929. 小林忠·河野元昭 監修, 黑川修一·神谷浩 編集·校訂, 『「定本」日本繪畵論大成』第6卷, 東京: ぺりかん社, 2000.
키워드
문인화 literati painting; Bunjinga, 남종화 southern school painting; Nanshuga, 일본 근대 Modern Japan, 뤄전위 羅振玉 Luo Zhenyu, 오무라 세이가이 大村西崖 Omura Seigai, 다키 세이치 瀧精一 Taki Seiichi
PDF 문서
46_4(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