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46 호
제목
화문과 화제의 분류체제
원어 제목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홍선표 洪善杓   지음
발행일자
2018.06.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7-13쪽 / 총 17쪽
국문초록
본 논문은 중국의 남북조시대에서 송대까지의 화문(畵門)과 화제(畵題)의 체제화 과정과 분류 양상에 대해 개관해 본 것이다. 화제는 그림의 제재나 주제에 의해 명명된 작품의 제목이고, 화문은 이들 종류를 같은 유형의 화제끼리 묶어서 인물화, 산수화, 화조화 등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같은 내용의 화제들을 모아 하나의 부문을 이룬 화문은, 학과처럼 그림의 분과와 같은 역할을 하여 화과(畵科)로도 지칭된다. 동아시아 회화는 이러한 화문을 통해 작가의 전문성을 도모하고 기량을 평가했으며, 화제로 고전을 추행(推行)하고 이를 증식하며 확장하였다. 작품의 의도는 물론, 사용된 물질적 재료나 장황(粧潢) 형식, 화체(畵體)와 품평, 작가의 신분과 유파, 향유 목적과 용도 등도 화문과 화제의 범주에서 창작 규범과 장르 관습을 조성하고 계승하면서 구조화되고 체제화되었다. 따라서 화문과 화제는 도상해석학적 연구의 기본 자료이면서, 동아시아 회화의 주제의식과 실체 파악의 핵심 과제라 하겠다. 화문과 화제에 대한 논의는 동아시아 회화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일이기도 하며, 자료가 말해주는 회화사를 실상적으로 재구하는 데 있어서도 긴요하다.
외국어초록
This paper is a survey of the systemat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painting divisions(畵門huamen) and painting subjects(畵題huati)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period to the Song Dynasty period. Painting subjects are titles of works named according to their topic or theme, and painting divisions are kinds of painting subjects sorted by category, such as figure, landscape, and bird-and-flower paintings. Painting divisions, which group the same painting subjects into separate divisions, are also referred to as ‘painting departments’(畵科huake), since they serve the same role as academic departments with respect to paintings. The East Asian painting tradition used such painting divisions to promote the expertise of painters and to evaluate their abilities and used painting subjects to follow the classic works and to propagate and extend them. The intention behind the work, as well as the physical materials used, how the painting is mounted, painting style and criticism, the artist's social status and school, the purpose of enjoyment and mode of use, etc. were structuralized and systematized as creative norms and genre conventions under the categories of painting divisions and subjects. Therefore, painting divisions and subjects serve as foundational data in iconological research and provide the core task in understanding the thematic consciousness and substance of East Asian paintings. Discussion of painting divisions and subjects not only elucidates the nature of East Asian paintings, but also is crucial in accurately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paintings from available materials.
참고 문헌
葛路, 강관식 옮김, 『중국회화이론사』, 미진사, 1989. 박은화 옮김, 『곽약허의 도화견문지』, 시공사, 2005. 박은화, 「『선화화보』의 산수문에 나타난 북송말의 산수화관」, 『중국사연구』71, 2011. 조송식 옮김, 『역대명화기: 중국 옛그림을 말하다』 상·하, 시공사, 2008. 조송식, 「북송초 유도순의 『성조명화평』과 그의 회화론」, 『미학』64, 2010. 홍선표, 「조선 초기 회화의 사상적 기반」, 『조선시대 회화사론』, 문예출판사, 1999. 홍선표, 「조선 전기 서거정의 회화 관련 기록」, 『미술사논단』32, 2011.6. 中村茂夫, 『中國畵論の展開』, 京都: 中山文華堂, 1965.
키워드
중국회화 Chinese painting, 화문(畵門) field of painting / subject matter category of painting, 화제(畵題)
PDF 문서
46_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