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9 호
제목
한국 전통회화의 국제성과 독창성 역사와 근현대의 수묵채색화
원어 제목
The History of Internationality and Originality i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nd Modern and Contemporary Ink and Color Painting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특집논문
저자
홍선표 洪善杓   지음
발행일자
2024.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79-113쪽 / 총 35쪽
국문초록
한국과 중국은 같은 회화권에서 수묵과 채색을 공통적인 매재로 사용하며 유대관계를 이루어 왔으나, 서로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 양상은 역사적, 문화적 조건과 여건이 다른 데서도 기인하지만, 두 나라의 기질과 취향, 미감 등의 원류문화가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글은 최근 개최된 한국과 중국의 유일한 국가 미술관 합동의 <水墨別美展>을 계기로, 한국 전통회화의 국제성과 독창성을 선사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의 대표적인 작례를 통해 개관하고 <수묵별미전>에 출품된 근현대 한국 작고 작가 작품의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한국은 선사시대 4천년간 중국과 다른 유라시아 북부 문화권과의 교류를 통해 원류문화를 조성하며 성장했으며, 독자적인 언어를 구사하고 감정을 표현하며 고유성을 증식했다. 이러한 고유성을 토대로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체질과 성향에 맞는 것을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변용하거나 새롭게 재창출하며 발전했으며, 이와 같은 전통은 근현대에서도 일본을 포함한 세계미술과 관계를 맺으며 작가별로 독특하고 개성적인 창작세계를 보여주었다.
외국어초록
Korea and China, as part of the same tradition of East Asian painting, share ink painting and color painting as common mediums while displaying distinct characteristics. These differences arise not only from their varying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but also from fundamental divergences in temperament, preferences, and aesthetic sensibilities. Inspired by the opening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Ink Ar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People???Republic of China exhibition,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nationality and originality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from the prehistoric era to the Joseon dynasty through representative works and analyze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pieces by late Korean artists featured in the exhibition. Over 4,000 years during the prehistoric era, Korea developed its foundational culture through exchanges with Northern Eurasian cultural regions, distinct from China. This allowed Koreans to cultivate a unique language and emotional expressions, fostering originality. Building on this foundation, Korea selectively absorbed, transformed, and recreated influences from China to align with its cultural disposition. This tradition has continued into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with Korean artists establishing unique and individual creative worlds while engaging with global art, including interactions with Japan
참고 문헌
키워드
동양화 oriental painting 한국화 Korean painting 조선조 회화 Joseon dynasty painting 고려조 회화 Goryeo dynasty painting 삼국시대 회화 three kingdoms period painting 암각화 petroglyphs 선각화 incised rock art
PDF 문서
미술사논단_59_홍선표선생님_04.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