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단 |
미술사논단58 호 |
제목 |
1920년대의 조선미전과 풍경화의 발흥 |
원어 제목 |
Joseon Art Exhibition and the Emergence of Landscape Painting in the 1920s |
주제 분류 |
|
자료 유형 |
학술논문 |
저자 |
홍선표 洪善杓 지음 |
발행일자 |
2024.06.30 |
기본언어/원문언어 |
한국어/한국어 |
수록면/분량 |
7-55쪽 / 총 49쪽 |
국문초록 |
한국 근대미술은 1920년대부터 서양화에 의해 주도되면서 풍경화가 가장 크게 발흥한다. 풍경화의 발흥은 1922년에 창설된 관전인 조선미술전람회의 서양화부를 통해 이루어졌다. 인물화, 정물화와 함께 조성된 이 시기 서양화 작품군의 주류로서, 초기 근대미술 전개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1920년대 조선미전의 풍경화는 근대적인 풍경미학의 공공화와 공람화를 초래하면서, 도시민의 일상경으로서의 도시풍경이 대종을 이루었고, 순수 자연풍경보다 문화적이며 인문적인 경관을 주로 다루었다. 그리고 ‘조선풍경’으로 발견된 이 시기 조선미전의 풍경화를 통해 보편적 근대와 식민지 근대를 착종하면서 유형화와 제도화와 더불어 창작미술로서의 예술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화풍은 인상파 위주의 아카데미즘과 후기인상파 이후의 주관적인 신경향 모더니즘, 신남화풍의 동양취향 경향을 토대로 다양성을 보였다. 특히 래디컬한 신경향 모더니즘은 향후 ‘신아카데미즘’으로 전개되면서 재야의 신흥미술과 함께 1950년대의 반추상 성행으로 이어진다. 재조선인 일본인 화가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였던 조선인 화가도 이러한 맥락을 내면화하며 점차 늘어났으며, 경성과 함께 지방에서도 풍경화를 주류로 약진하면서 30년대 서양화단 번창의 기반을 조성했다.
|
외국어초록 |
As Western-style painting gained prominence in the 1920s, landscape painting emerged as a significant genre in Korean modern art. This shift was largely led by the Western-style painting section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established in 1922. Alongside figure and still-life subjects, landscape painting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early development of modern art in Korea. In the 1920s, the landscape paintings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introduced the public to a modern sense of landscape aesthetics. Cultural and humanistic landscapes were preferred over pure natural sceneries, with cityscapes depicting everyday life predominating. Both universal and colonial notions of modernity were intertwined in the landscape paintings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leading to the genre's categor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within fine art. During this time, the concept of the Joseon landscape also began to take shape. Various painting styles were adopted, including academic styles centered around Impressionism, the post-Impressionist subjective trends of modernism, and the Shin-Nanga style with Oriental influences. Notably, the radical new trend of modernism evolved into New Academism, which contributed to the rise of Semi-Abstract art and other marginal new art forms by the 1950s. Although Joseon painters were relatively few compared to Joseon-based Japanese painters, they embraced these evolving styles,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ir numbers. Landscape painting became mainstream nationwide,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thriving of Western-style painting in Korea during the 1930s
|
참고 문헌 |
|
키워드 |
도시풍경화 cityscape painting, 교외풍경화 suburban landscape painting, 아카데미즘 academism, 모더니즘 modernism, 다카기 하이스이 Takagi Haisui, 정규익 Jung Gyu-ik, 전봉래 Jeon Bong-rae, 이승만 Lee Seungman, 나혜석 Rha Hyeseok |
PDF 문서 |
a840fb19111394dd018fb159bf593390.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