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7 호
제목
한국 근대기 ‘여성독서도’ 연구
원어 제목
A Study of ‘Images of Reading Women’ in Modern Korea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이성례 李聖禮   지음
발행일자
2023.12.30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35-59쪽 / 총 25쪽
국문초록
여성이 책의 내용에 몰입한 순간을 포착하거나 책을 읽다가 상념에 잠긴 모습을 그린 이미지는 전통시대에는 찾아보기 어려운 도상이다. 이것은 중국 명·청대와 일본 에도(江戸) 시대에 책 읽는 여인을 모티프로 한 시각 이미지가 다수 재현되었던 것과 구별된다. 하지만 근대기에 이르면 국내에서도 독서하는 여성의 이미지가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여성 인물화의 주제가 ‘여성과 책’으로 확장된 것이다. ‘여성독서도’는 여성 인물화의 주제와 제재에서 높은 비중을 보였고, 조선미술전람회에서도 중요한 모티프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또, 최신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한 상업 광고와 신문, 잡지 등 인쇄 미디어에서도 책과 결합한 여성의 이미지가 근대성을 체현한 여성상으로 소비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독서와 같은 지적 활동이 새로운 시대에 여성이 지녀야 할 아름다움의 조건이 되고, 사회가 근대화된 정도를 보여주는 하나의 기준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물론, 제도 교육의 수혜를 입은 여성은 전체 여성 대비 극히 일부였고, 여성 독서자도 남성 독서자와 비교하여 매우 적었다. 하지만 이미지를 통해 배운 여성들의 삶 속에 독서 행위가 자리 잡아갔음을 볼 수 있고, 책 읽는 여성을 향한 사회적 시선이 달라졌음을 환기하게 된다. 그리고 그것은 당시 한·중·일이 공유했던 이상적인 여성상과 근대성이 맞물리는 지점이기도 하다.
외국어초록
Images that capture the moment when a woman is immersed in the content of a book, or depict her lost in thought while reading, are rare in the traditional period. This is in contrast to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China and the Edo period in Japan, where many visual images with the motifs of reading women were produced. However, in the modern era, images of women reading began to appear in Korea. The theme of female portraiture expanded to include ‘women and books.’ ‘Images of reading women’ were highly prominent in the themes and topics of female portraits and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otifs in Joseon Art Exhibition. In addition, in commercial advertisements and print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which were sensitive to the latest trends, the images of women with books were consumed as female images that embodied modernity. Such fact suggests that intellectual activities such as reading became a condition of beauty for women in the new era and a measure of how modernized a society is. Of course, the women who benefited from institutionalized education were a tiny fraction of all women, and there were very few female readers compared to male readers. However, the images show that the act of reading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lives of educated women and remind us that society’s view of reading women had changed. It is also a point where modernity intersects with the idealized image of women shared by Korea, China, and Japan at the time.
참고 문헌
키워드
여성독서도 images of reading women, 여성인물화 portrait of a woman, 신여성 modern women, 여성의 서재 women’s study, 조선미술전람회 Joseon Art Exhibition
PDF 문서
논단57호_이성례.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