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단 |
미술사논단54 호 |
제목 |
오당 안동숙(吾堂 安東淑, 1922-2016)의 1960-1970년대 ‘추상’ |
원어 제목 |
‘Abstract’ in the 1960s and 1970s of Ahn Dong Sook (1922-2016) |
주제 분류 |
|
자료 유형 |
학술논문 |
저자 |
송희경 宋憙暻 지음 |
발행일자 |
2022.06.30 |
기본언어/원문언어 |
한국어/한국어 |
수록면/분량 |
137-159쪽 / 총 23쪽 |
국문초록 |
오당 안동숙은 사숙과 미술대학. 조선미전과 국전, 수묵과 채색, 구상과 추상, 지필묵과 여타 물성 등을 모두 경험한 화가이다. 김은호의 문하생이었던 일제강점기에는 채색의 화조 영모화를 주로 그렸고, 해방 이후에는 아교를 활용한 수묵 담채화를 꾸준히 발표하였다. 특히 묵림회 시절에는 번짐과 얼룩을 토대로 한 기하 추상을 선보였다.
1960년대 중반부터 유성 안료와 수성 미디엄을 활용한 모노타이핑과, 섬세한 붓질을 중첩하는 육리법을 고안하였다. 프레스와 페인팅을 혼용하여 은은한 색상과 질감으로승부하는 추상 회화를 완성한 것이다. 안동숙의 물성 실험은 1950년대 중반 현대성 명제와 맞물린 동양화단의 추상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안동숙이 포문을 연 물성과 재질 실험이 당시 동양화단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연 것이다. 또한 안동숙은 1960-70년대 동양화단에서 독자적인 추상 영역을 확고하면서 구상과 추상의분리가 필요 없음을 역설하고 ‘회화’라는 용어의 타당성을 피력하였다.
|
외국어초록 |
Odang Ahn Dong Sook is a painter who has experienced variously in private school and regular art college education, Joseon Art Exhibition and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k and coloring, figuration and abstraction, paper brush ink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Kim Eun-ho's student, he mainly painted colored flowers and birds, and after liberation, he steadily published ink-and-wash paintings using glue. In particular, during the Mukrimhoe period, he presented geometric abstractions based on smears and stains. Since the mid-1960s, he tried to experiment with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bstract, and devised a method of superimposing monotyping using oil-based pigments and water-based medium and delicate brush strokes. By mixing press and painting, he completed an abstract painting that competes with subtle colors and textures. The experiment on material properties and materials started by Ahn Dong Sook opened a new paradigm for the oriental painting at the time.In this way, Ahn Dong Sook, who devoted his life to exploring new ways of speaking and formativeness, established his own abstract domain among the oriental painters of the 1960s and 1970s. He emphasized that there is no need to separate figurative and abstraction, and demonstrated the validity of the term 'painting'.
|
참고 문헌 |
|
키워드 |
안동숙, 1960년대, 1970년대, 동양화, 추상, 모노타이핑 |
PDF 문서 |
논단54_5_송희경.pdf |